进入菜单 进入原文
Go Top

文化

李承雨《与书共眠》(上)

2020-12-01

ⓒ Getty Images Bank

就好像筑塔一般,那些书从地板一层层摞到天花板。

那个男人躺在这些书塔之间的狭小空间里,弓着身子,把腿蜷起来,膝盖顶在胸口,乍一看就好像是刚刚离开母亲子宫的胎儿。

报纸上用“身份不明的男性”来指代他,说他没有留下任何可以证明自己身份的线索。


마치 탑을 쌓아올린 것처럼

바닥에서 천장까지 책들이 포개져 있었다.

문제의 남자는 책으로 쌓아올린 그 여러 개의 탑들 사이

비좁은 공간에 다리를 가슴까지 바싹 끌어당기고

웅크린 자세로 누워있었다.

그 모습은 언뜻 모체 밖으로 나오기 전의

태아를 연상하게 했다.


신문에는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자라는 표현이 나왔다.

자신의 신분에 대한 어떤 단서도 남기지 않았다는 것이다.



主人公是怎么认识那个男人的呢?那男人为什么好像“与书共眠”般地死去呢?       



我久久地看着照片里死去的那个男人,感觉那些书就好像是他的陪葬品。我认为对他来说,再也没有比书更好的陪葬品了。

他的死与他的人生是如此契合相配,想到这里,我甚至有些感动。

不知为何,我总觉得不应该让他就做为一名“身份不明者”离去,我被自己的义务感推动着,几乎没怎么犹豫就拨打了警察署的电话。


나는 그 사람의 시신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그러자 사진 속의 책들이 그와 함께 무덤에 매장된 부장품처럼 보였다. 

나는 그 사람에게 책보다 더 잘 어울리는 부장품은 없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자신의 삶과 가장 어울리는 그의 죽음의 모습은

감동스럽기까지 했다.


왜 그런지 그를 신원불명자로 내버려두는 건

옳은 일은 아닌 것 같았다.

나는 그 사람에 대해 진술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혔고,

별로 망설이지 않고 이내 경찰서에 전화를 걸었다.



小说中的“我”也是故事的叙述者,这是一个与书很相似,并且像书一样感悟世界的人物。他本来在公司里负责办社报,但因为没了立身之地,被排挤到了地方小城市。他和紧跟世界变化的妻子之间产生了矛盾,最后不得不离了婚。他相信书和报纸的可能性,并且坚持守护着正在消失的价值。从现代社会的观点来看,他是一个跟不上世界发展速度的落后的人。




作者 李承雨(1959. 全罗南道长兴)。1981年中篇作品《Erysichton的肖像》(에리직톤의 초상)获得《韩国文学》新人奖,从而登上文坛。1991年获得第15届李箱文学奖。

推荐内容

Close

为了向听友提供更好的服务,KBS WORLD Radio网页正在应用Cookie和其它相关技术。您持续浏览本台网页,将被视为您已同意利用上述技术和本台的《个人信息处理方针》政策。 详细内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