进入菜单 进入原文
Go Top

文化

《无赖》-金裕贞

2022-11-15

ⓒ Getty Images Bank

应七一家从家乡逃跑出来后,到处讨饭过日子。但即使这样也熬不下去,为了各自的活路,一家人最后也不得不分开了。

从那以后,应七四处流浪,还因为盗窃和赌博被抓进监狱四次。一个月前,没家没地没亲人、四处漂泊的应七来到了弟弟应五居住的村子。

因为太长时间没见了,应七很想念自己唯一的亲人应五,但却发现应五的生活也是一样的艰难



应五是个非常实诚的农民,今年31岁。因为为人实在懂事,在村人的心目中是一个模范青年。但是到了秋收的时候,他却一直不去割稻子。地主和放高利贷给他的金参判实在看不下去,跑上门来催促他。


“我婆娘都要死了,还割什么稻子!” 


就算应五因为老婆病重无暇分心,但为了拿钱买药,也得赶快割稻子换钱啊,可为什么他却不肯去割稻子呢……


辛苦了一年终于收获,心情当然是激动的,但给地主交了租子,还了高利贷,再还了除草欠下的钱,剩下的就只是流淌在脊背上的凉冰冰的汗水。这时的心情与其说是悲伤,不如说是无比的羞愧。在一起打场的朋友们的注视下,背着空空如也的背架摇摇晃晃地往家走,那感觉真是……应五忍着忍着,最后还是流下了眼泪。 


응오는 진실한 농군이었다.

나이 서른하나로 무던히 철났다하고 동리에서 쳐주는 모범 청년이었다.

그런데 벼를 베지 않는 것이다.

지주든 혹은 그에게 장리를 놓은 김참판이든 뻔질 찾아와 벼를 베라 독촉하였다.


“계집이 죽게 됐는데 벼는 다 뭐지유” 


응오의 아내가 지금 사정이매 틈은 없었다 하더라도 

돈이 놀아서 약을 못 쓰는 이판이니 벼라도 털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왜 안 털었던가....


한 해 동안 알뜰히 가꾸던

그 벼를 걷어 들임은 기쁨에 틀림없었다.

그러나 지주에게 도지를 제하고, 장리쌀을 제하고, 색초를 제하고 보니

남는 것은 등줄기를 흐르는 식은땀이 있을 따름.

그것은 슬프다 하기보다 끝없이 부끄러웠다.

같이 털어주던 동무들이 뻔히 보고 섰는데

빈 지게로 덜렁거리며 집으로 돌아오는 건 진정 열적기 짝이 없는 노릇이었다.

참다 참다 응오는 눈에 눈물이 흘렀던 것이다.



在日帝强占时期残酷的地主-佃农制度下,农民们很难通过自己的主业来获得生活的希望,因此他们不得不寄希望于赌博这样的非法手段,试图一夜暴富的情况也在小说中体现出来。从这个角度来看,小说中的应七和应五并不是“无赖”,不仅如此,那些为了艰难度过眼前的日子而不得不过上无赖生活的农民们也都不能说是“无赖”。



应七举起手里的棍子,狠狠地打在应五的屁股上。


应五身子一斜,一点点地蜷缩起来。应七的棍子又打在他的小腿上、背上。一顿乱棍打得他躺在地上,顾不上脸面地呜呜哭起来。


    虽然是一气之下动的手,但看到弟弟这个样子,应七的心里也很不好受。


他“呸”地一声吐了口唾沫,骂了声“命硬的家伙”,然后把倒在地上的弟弟扶起来,背在了自己的背上。他什么时候才能认清这个世道呢?应七深深地叹了一口气,然后背着弟弟慢慢地、沉默无言地往山下走去。


대뜸 몽둥이는 들어가 그 볼기짝을 후려갈겼다.


아우는 모로 몸을 꺾더니 시나브로 찌그러진다.

뒤미처 앞 정강이를 때렸다.

등을 팼다.

일어나지 못할 만큼 매는 내렸다.

체면을 불구하고 땅에 엎드려 엉엉 울도록 매는 내렸다.


홧김에 하긴 했으되 그 팔을 보니 또한 마음이 편할 수 없다.


침을 퉤, 뱉어 던지곤 팔자 드센 놈이 그저 그러지 별수 있냐.

쓰러진 아우를 일으켜 등에 업고 일어섰다.

언제나 철이 날는지 딱한 일이다.

속 썩는 한숨을 후- 하고 내뿜는다.

그리고 어청어청 고개를 묵묵히 내려온다.




作者 金裕贞(김유정,1908.1.11.~1937.1.29),江原道春川人。1933年凭借短篇小说《雷阵雨》(소낙비)登上文坛。

推荐内容

Close

为了向听友提供更好的服务,KBS WORLD Radio网页正在应用Cookie和其它相关技术。您持续浏览本台网页,将被视为您已同意利用上述技术和本台的《个人信息处理方针》政策。 详细内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