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사회] 세월호 5주기 기억식 오늘 안산에서 열려

2019-04-16

뉴스

ⓒYONHAP News

세월호 침몰 참사를 되새기는 것은 그 같은 인재(人災)가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는 다짐이다.


세월호는 인천-제주간을 운항하던 여객선이었다.

사고는 2014년 4월16일 오전 8시50분께 발생했다.

세월호는 전남 진도군 병풍도 앞바다에서 전복된 후 침몰했다.

사고 당시 476명이 승선해 있었고, 그 중 30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사망자 대다수는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이었다.

구조된 사람은 172명에 불과했다.


이처럼 대형 인명 피해가 나지 않을 수도 있었다.

일차적으로 선장과 선원들의 잘못된 대처가 피해를 키웠고, 해경 등의 구조도 원활치 못했다.

배가 기울시 시작했을 때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라고 방송한 것이 화근이었다.

승객들은 지시대로 선실에 그대로 머물렀으나, 선장과 선원은 먼저 탈출했다.

해경이 출동했으나 지휘관의 잘못된 판단으로 구조작업이 지연돼 골든타임을 놓쳤다.


이후 조사 과정에서는 더 큰 문제점이 드러났다.

급격한 진행 방향 변경, 화물 과적, 고박 불량, 무리한 선체 증축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와 관련해 선사와 관련 책임자들이 처벌을 받았다.

실소유주로 알려진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은 도피중 사망했다.


보다 세밀한 진상 규명을 위해서는 2015년 1월 특별조사위원회가 구성돼 활동했다.

특조위는 그러나 수사권•기소권 논란 속에 별다른 조사도 하지 못한 채 활동을 마쳤다.

2017년 4월에는 침몰한 세월호 선체를 인양했다.

이에 따라 선체조사위원회가 조사에 나섰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선체의 무리한 증•개축과 복원성 훼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내인설과 외부충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열린 안'을 같이 낸 것이다.

이에 2018년 3월 2기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했다.

유가족과 관련 시민단체들은 당시 정부 책임자 등 18명의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완전한 진상규명이 중요한 것은 같은 유형의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다.

우선 끊임없이 제기되는 외부 충격설을 규명해야 한다.

무리한 증개축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이 이뤄졌지만, 그것으로 충분한지도 검토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책임져야 할 사람이 있다면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함은 물론이다.


세월호 사고 이후 국민 안전 인식이 크게 높아졌고, 재난대응체제가 개선됐다.

그러나 아직도 곳곳에서 약점이 드러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철저한 진상규명과 유사사고 재발 방지가 곧 유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길이라는 지적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