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문화

다복한의원 - 심아진

2022-11-22

ⓒ Getty Images Bank

비단 철물점 아줌마와 최씨 아저씨의 관계뿐만이 아니었다.

규리는 날마다 모르는 게 나을 성 싶은 불편한 이야기들을 들어야 했다.


슈퍼 할아버지가 옥상에서 비둘기를 잡아 구워 개에게 먹인다든가

윗길 세탁소 아저씨가 아랫길 세탁소 담벼락에 방뇨를 했다든가 하는,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이야기들도 무수히 흘러나왔다.


타인의 사정을 본의 아니게 알게 되는 건 피곤한 일이었다.


- 방송 내용 중 일부 



규리는 격식을 차리지 않고 편하게 대해도

도를 넘어 친밀하지는 않은 원장과 밥 먹는 게 점점 좋아졌다.

원장과 직원, 선배와 후배라는 관계가,

가로대를 사이에 두고 담긴 짬짜면처럼 한 그릇에 무리 없이 담겼다.

어른이 된 후에는 유치했다고 회상한 바 있는 짓궂은 장난질이

원장과 밥을 먹는 식탁에서 되살아나기도 했다.

해물전의 바삭한 부분을 선점하기 위해, 접시 위에서 젓가락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원장은 유행도 맥락도 없는 허무개그로 곧잘 했다.


“사람들이 왜 우리 다복한의원에 오는지 아니?” 


“복 많이 받으려고?” 


“틀렸어.  아파서 오지.  안 아프면 한의원에 왜 오겠냐~” 



# 인터뷰. 방민호

규리로서는 어렸을 때부터 보아왔던 어른들의 세계, 어린 눈으로는 볼 수 없었던 그 이면의 모습을 보게 되는 불편함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그런 불편함까지도 다 알아나가게 됨으로써 비로소 더 깊게 알고 이해해나가는 주인공의 의식의 변모 과정을 그려놓고자 했던 것이 바로 이 작가의 의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은 알고 보니 동네 사람들이 몸이 아프든 마음이 아프든 다 아픈 사람들의 세계고, 자기 친구들도 다 아픈 사람들이죠. 이런 모든 아픈 이들의 세계를 잘 갈무리해서 하나의 그 이야기 속에 담아낼 수 있었다는 것. 이것이 이 소설의 아주 뛰어난 점이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서른 넷이라니 믿기지 않아요.

 마흔 넷이 되면 상황이 좀 나아질까요?” 


‘꼬락서니’가 좀 나아질까요, 라고 하고 싶었으나  나름 순화시킨 질문이었다.


“글쎄, 네가 쉰 넷, 내가 쉰 일곱이 되면 알 수 있으려나?”


규리는 그런 건, 자신이 예순 넷, 한용수가 예순 일곱이 되어도

알지 못하리라 말하려다 그만두었다.


“우리 성당 한 번 가볼래요?” 


“뭐? 왜?” 


“서른 셋에 다 이룬 예수님이 다소 무료하실지도 모르니까” 


원장이 웃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규리는 까까머리 시절의 한용수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같은 걸 기타로 치려다

계속 음이 틀리자 고개를 갸웃거렸던 걸 떠올렸다.

멀고도 가까운 추억이었다.


원장과 규리는 맛있게 먹은 족발이

피부든 어디든 분명 좋은 영향을 미치리라는 데 동의하며 식사를 마쳤다.


만연해 있지만 진하지 않은, 얇디얇은 맛을 내는 저녁 한 끼였다.




작가 심아진 (경상남도 창원, 1972년 ~)

    - 등단 : 1999년 중편소설 [차 마시는 시간을 위하여]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