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국제] 중국, 지난해 김정은 방중 후 쌀과 비료 무상 원조

2019-05-20

뉴스

ⓒ KBS News

중국의 대북 쌀-비료 지원은 이미 짐작됐던 일이다.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3차례 중국 방문을 전후해 쌀 비료 무상지원설이 나왔었다.

그것이 이번 중국 해관 통계로 확인된 것이다.

이와 관련 중국이 나름대로 성의를 표시한 것이란 분석이다.

대북 제재 국면에서 대규모 지원에 나설 수는 없는 상황에서 쌀과 비료를 내놨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북중정상회담 대가로는 크지 않아 북한의 불만이 컸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소비료가 대량 지원된 것은 주목을 끈다.

지난해 중국의 요소비료 지원규모는 북한의 2016년 한해 총 수입량에 맞먹는 규모란 것이다.

중국은 앞서 2013년에는 북한에 요소비료 20만t을 지원한 바 있다.

요소비료는 1t당 2t의 식량증산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대북 비료 지원규모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올해는 중국의 대북 지원이 늘어나고, 북중관계는 더 밀착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북중수교 70주년을 맞는 해이기 때문이다.

북한은 하노이 담판 결렬 후 중국과 러시아를 적극 끌어들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해 1월에도 중국을 방문했고, 지난 4월말에는 러시아를 방문했다.

이는 북중러 전선을 구축하는 동시에 중국의 지원 확대를 겨냥한 포석으로 분석됐다.


이런 가운데 시진핑 주석의 방북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온다.

시 주석의 방북이 이뤄진다면 자연스럽게 대북지원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중국의 올해 대북 무상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실제 이미 그런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북중 무역액이 전년 동월대비 38.1% 증가한 것이다.

북한의 대중 수출은 전년대비 33.7% 증가한 1천656만 달러였다.

대중 수입은 38.5% 증가한 1억 9천795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대북제재로 인한 무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하노이 담판 결렬 후 북중관계 밀착에 따른 현상이라는 측면도 있다.

또 북한과 중국이 대북제재를 우회하는 새로운 루트를 개척한 결과라는 관측도 나왔다.


중국은 그동안 대북제재 국면에서 북한의 생명선 역할을 해왔다.

북한은 주로 중국을 경유해 전략 물자를 조달해 왔다.

중국은 이를 묵인하거나 제재망의 테두리 내에서 가능한 지원을 해 왔다.

하노이 담판 결렬 후 북한은 장기전을 상정하고 대비하는 모습이다.

우선 중국과 러시아를 우군으로 끌어들였다.

그리고 이들 두 나라에서 제재를 버텨낼 수 있는 물자 지원도 최대한 확보하려는 것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