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2020-07-02

뉴스

ⓒYONHAP News

정부는 국가 연구·개발(R&D)을 통해 나온 모든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활용할 수 있는 플렛폼인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내년까지 조성키로 했다.

이 플랫폼이 조성되면 연구자들이 이질적이고 다양한 연구데이터를 통합해 신약 개발과 인공지능(AI)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홍 부총리는 “부처 사업 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 수집 제공하는 플랫폼인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내년까지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각 부처에서 운영 중인 소재자원은행 274개의 구조조정 방침도 밝혔다. 줄기세포 뇌 미생물 등 14개 분야별 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는 “이를 통해 수요자가 원하는 소재와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연구 필수자원을 자립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홍 부총리는 감염병 대유행 등 바이오 재난 발생시 검체·치료 후보물질 등 소재, 감염병 연구 데이터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비상 운영 체계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부, 보건복지부 등 10개 부처ㆍ청이 함께 마련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의 일환이다.

이 전략은 △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 환경 구축 △수요자 맞춤형 바이오 소재 활용 촉진 △바이오 재난 대응 인프라 비상 운영 체계 정립 △민관 협력 기반 조성 등 4대 전략이 핵심이다. 

바이오기술이 발전하면서 바이오경제의 자원인 데이터와 소재가 급증하고 이를 인공지능(AI) 등으로 분석한 빅데이터가 연구개발과 산업 발전에 필수 요소가 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부처·청 또는 사업별로 흩어져 있어 효율적 활용이 어려운 점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바로 이같은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마련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조성은 바로 이 전략의 핵심으로 ‘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 환경 구축’ 전략에 따른 사업이다.


의미와 기대 효과

흩어져 있고, 적시에 찾을 수 없는 데이터는 무용지물이다. 그것이 제대로 수집 분류 통합되어 있을 때는 생각지도 못한 큰 힘을 발휘할 수도 있다. ‘빅데이터’가 바로 그런 역할을 한다. 오늘날 네트워크로 모든 것이 연결돼 있고, 엄청난 데이터가 쌓이고 있으므로 데이터 기반 연구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다.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조성은 이런 환경에서 연구 개발 역량을 결집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홍 부총리는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조성으로 백신과 신약 개발 등 바이오 연구에 필요한 필수 자원 자립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향후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발 빠른 대응과 바이오 R&D 수준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기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범부처와 협력해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