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북한

북한의 한류

2019-07-04

한반도 리포트

© KBS

전 세계가 한류에 열광하고 있다. 팝의 본고장 런던은 물론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펼쳐진 방탄소년단의 역사적인 월드투어로 한국 대중음악의 위상은 크게 높아졌다.

K-푸드, K-영화, K-패션, K-뷰티. 한국의 음식, 문화, 패션, 제품도 세계적인 관심사다. 한류 열풍은 북한에도 불고 있다,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력을 데일리NK 강미진 북한팀장과 알아본다.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돼 

북한에서 한국 대중음악은 ‘남조선 날라리 풍’, ‘자본주의 황색 바람’으로 묘사됐다. 불순 출판물로 분류된 한국 대중문화는 시청과 청취는 물론 언급도 엄격히 금지됐다. 과거 한국의 음악이나 영상을 시청하거나 청취하다 발각되면 수용소에 수감되거나 심한 경우 사형이나 무기징역에도 처해졌다.

그렇지만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으로 김대중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면서 한류는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남북 관계의 핑크빛 기류를 타고 김대중 대통령이 방북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선물했다는 드라마와 영화가 유통되고, 중국과 접경한 지역을 중심으로 한류가 북한 전역으로 전파됐다.


한류, 한국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돼

북한 주민들에게 한류는 외부세계를 보는 또 다른 창이다. 대중의 자발적 문화 향유가 어려운 폐쇄적 통제국가에서 사는 북한 주민들은 한국 영화나 드라마, 대중가요를 통해서 한국을 새롭게 인식하고, 간접적으로 자유를 경험한다. 북한에서 받은 교육과 달리 영상 속 한국 사람들은 너무나 자유롭고 풍요롭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한 주민들은 한류를 통해 척박한 현실, 고단한 일상으로부터 잠시 벗어난다. 

한국의 대중문화는 어떻게 북한에 유입되는 걸까요?

한국의 대중문화 영상물은 북중 접경지역에서 밀수로 유입돼서 우리나라의 시장에 해당하는 ‘장마당’에서 거래된다. 북한은 CD와 DVD를 ‘씨디알’ 또는 ‘알판’이라고 부르는데, 노트북 컴퓨터와 컬러 TV, 재생기만 있으면 얼마든지 한국 영상물 시청이 가능하다.

요즘은 중국의 북한 시장 진출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단속을 쉽게 피할 수 있어서 한류가 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니다. 한국에서 드라마가 종영된 뒤 1주일 정도만 지나면 20부작 드라마도 CD에 복제돼서 거래되는데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한국 드라마, ‘도깨비’, ‘별에서 온 그대’, ‘해를 품은 달’, ‘태양의 후예’.‘암살’, ‘내부자들’, ‘국제시장’ 같은 흥행 영화들은 북한에서도 인기가 많다고 한다.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률도 높아져서 ‘삼시세끼’, ‘꽃보다 할배’, ‘1박2일’, ‘무한도전’ 같은 프로그램도 즐겨 보고, 북한 청소년들은 방탄소년단의 음악에 열광한다고 한다. 

한류 열풍을 막기 위해서 북한 당국은 물리적으로는 중국과의 국경을 막고, 한류를 포함하는 미디어 기기들을 통제한다. 하지만 단속을 하는 보위부원이 오히려 한류를 즐길 만큼 한류가 보편화되면서 한국 제품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북한 주민의 생활을 변화시킨 한류

한국 드라마나 영화, 노래 등에 등장하는 한국의 생활 모습은 북한 주민의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에 흔히 등장하는 압력전기밥솥은 북한 주민의 대표적 혼수품이 됐고, 드라마와 광고에 자주 등장하는 인스턴트커피를 마시는 북한 주민도 늘고 있습니다.

북한 여성들은 한국 드라마의 헤어스타일을 따라 하고,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인기를 끌던 시기에는 ‘전지현식 화장법’이 유행하기도 했다. 

그런데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서 가장 많이 따라 하는 건 언어다. 북한에서는 최고지도자에 대한 극존칭으로 인해서 일상 생활에서는 웃어른과 서로에 대해 존칭, 존댓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존댓말과 부드러운 말투는 북한의 언어와 의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북한 정권이 교육한 것과는 다른 한국의 모습을 목격하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다. ‘한국은 어떻게 저렇게 발전했을까?’‘저 사람들은 왜 저렇게 자유로울까?’그런 궁금증에서부터 시작된 생각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남북의 문화적 차이, 의식 격차를 줄이며 북한의 변화를 견인한다. 그 중심에 한류가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