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정치

"북한, 공식 경제활동참여율 71.6%로 역대 최저…대북제재 영향"

Write: 2020-10-28 17:44:39Update: 2020-10-28 17:47:46

"북한, 공식 경제활동참여율 71.6%로 역대 최저…대북제재 영향"

Photo : YONHAP News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로 북한 주민의 공식적인 경제활동 참여율이 71.6%에 그쳤으며, 기업소나 공장 등에 나갔더라도 10명 중 6명은 소득을 얻지 못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28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지난해 탈북해 한국에 거주하는 남녀 1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식 경제활동 참여율은 71.6%에 그쳤습니다.

이는 2012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입니다.

북한 가계의 공식 경제활동 참여율은 2012년 89.8%로 조사됐으며 5년간 79.9∼89.1%를 오갔습니다.

2018년에는 90.8%까지 올랐지만 지난해 75.9%에 이어 올해는 70%대 초반으로 떨어지며 2년 연속 급락하는 모양새입니다.

반면 비공식 경제활동 참여율은 91.7%로, 2012년 집계 이래 꾸준히 9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업소나 공장에 나가더라도 한 푼도 벌어들이지 못한다는 응답도 많았습니다.

공식 직장에서 소득이 전혀 없었다는 응답은 6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같은 결과가 대북제재가 강화된 이후 공식 기업소·공장의 생산활동이 저하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보건의료 환경을 조사한 결과 비공식 의료시장이 꾸준히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1년까지만 하더라도 장마당·개인 약국 이용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70%였지만, 지난해와 올해는 모두 90%에 육박했습니다.

북한에서는 무상 의료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지만, 실상은 의료기관에 뒷돈을 줘야 하거나 인민병원의 의료물품·기기 등의 부족 탓에 비공식 의료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의식주 생활은 항목에 따라 다소 하락한 부분이 있었지만,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결식자는 거의 없었으며 주식도 거의 입쌀로 먹었다는 응답률이 68.8%로 전년과 비슷했습니다.

정은미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제재 장기화에도 의식주 생활의 하락은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라면서도 "제재 장기화와 전염병으로 인한 국경 봉쇄, 수해 등 '삼중고'로 인해 2021년 조사에서는 의식주 생활 전반에서 큰 하락이 예상된다"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북한 주민이 남측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식은 늘어난 반면, 통일 의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에 있을 당시 남한을 '협력대상'이라고 봤다는 응답은 63.3%로, 전년(50.0%) 대비 13.3%포인트(p) 껑충 뛰었습니다.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률은 29.3%에서 18.3%로 감소했고, 경계대상이라는 응답은 11.2%에서 7.3%로 떨어졌습니다.

이 가운데 북한 주민들이 통일을 매우 원한다는 응답은 올해 78.9%로, 2011년 집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전년(84.5%)과 비교해도 5.6%포인트 떨어진 모양새입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2020 북한 사회변동과 주민의식' 학술회의에서 29일 화상회의 형식으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