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클로즈업 북한

북한의 전력

2020-04-02

ⓒ KBS

우리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남북 경제협력 사업을 강조하고 있다. 철도와 SOC 사업, 그리고 최근 정치권에서는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마스크 생산을 위한 개성공단 재가동이 언급되기도 했다. 이 같은 사업에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전력이다. 전력산업은 다른 산업의 기반이 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북한은 자국 내 전력산업을 매우 중요시 하고 있다. 북한의 전력 산업은 어떠한지 북한의 전력 산업에 대해 데일리NK 강미진 팀장의 설명을 들어본다. 


김정은 정권 이후 재생에너지 강조 정책으로 변화

북한의 전력은 수력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북한의 에너지 공급은 2016년 기준으로 수력이 전체의 54%를 차지했고, 화력이 46%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에 한국은 화력이 65%, 원자력 30%, 신재생 에너지 3.6% 순이었다. 북한은 석탄 생산량이 많지만 화력 발전소 설비가 좋지 않아 전력 생산량이 낮고, 낙후된 시설의 잦은 고장으로 화력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은 연료비가 들지 않는다는 장점을 내세워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꾸준히 높여왔다. 

문제는 가뭄 등으로 물 부족 사태가 빈번한 북한 사정상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수록 전력 공급이 불안정 하다는 점이다. 2018년 4월에 발표한 통계청의 '주요 남북한 지표'와 전력업계 등에 따르면 남북한 전력 생산능력의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 2018년 북한의 발전 전력량은 249억kWh로(킬로와트시) 남한 5,706억kWh 대비 1/23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1965년 남북한 전력 생산능력 비교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대 수준의 격차다. 그렇다보니 전력 수준 차이만큼 남북한 실생활 모습도 격차가 심할 수밖에 없다. 


태양열 이용으로 북한 전력난 해소하고 있어... 

<조선의 오늘>이 지난 21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해 들어 평양에서는 태양광발전체계가 전년대비 2.5배나 늘어났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구입하거나 설치한다고 하면 당국이 곧바로 무역 허가증을 발급해 줄 정도로 

장려하고 있다. 북한 당국의 전기 공급이 불안정한 상태가 계속되다 보니 주민들이 직접 자기 돈을 들여 태양광 패널을 구하고 있는 실정인데, 당 지도부가 핵 개발에 집중하는 동안 주민들은 태양광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각 지역에 ‘전력의 자력갱생’ 강조

북한 당국은 주민들이 이렇게 자체적으로 전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독려하며 각 지역에 '전력의 자력갱생'을 주문하기도 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월 25일에 지방공업 발전을 위한 각 지역들 사이의 경쟁 열풍을 소개했다. 현재의 전력 난관을 과감히 돌파하며 활력 있게 전진하는 도, 시, 군들을 보면 자체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발전전략을 쥐고 있다면서 각 지역에서 스스로 전력을 해결해야 함을 강조하고 지역끼리의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북한은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난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전력난은 여전히 심각하고 우리 정부는 이에 대한 지원 방안을 끊임없이 고민중이다. 전문가들은 북한 내 전력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노후 발전소 개보수 사업에 국내 업체가 참여하는 방안, 북한 평안남도 남포시에 남북 전력협력단지를 남한이 건설하고 남북이 공동운영하는 방안 등도 제안하고 있다. 북한의 만성적인 전력난 해결에도 남북한이 협력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