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이슈

[남북관계] '한 못 풀고' 이산가족 10명 중 6명 사망…고령화도 심각

주간 핫이슈2019-09-13

ⓒYONHAP News

이산가족 상봉 기회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상봉 신청자 중 사망자가 60%에 달하고, 이 비중은 시간이 갈수록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시간은 촉박하고, 대책은 시급하지만, 정치적 이유가 인도적인 필요를 가로막고 있다.

통상 설 추석 등 명절을 계기로 상봉행사가 이뤄졌지만, 올해 추석은 그냥 넘어가게 됐다.


'이산가족'이란 말에는 '천만'이란 표현이 관용구처럼 붙는다.

1천만이란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그만큼 또는 그 이상의 이산가족이 있다는 뜻이다.

분단과 전쟁을 거치고 세계 어느 곳의 국경선보다 엄혹한 휴전선이 가로 놓인 결과다.

왕래도 통신도 불가능했고, 생사 여부를 알 수도 없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로 조금 숨통이 틔였지만, 문자 그대로 '바늘구멍'에 불과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처음 추진된 것은 1971년이었다.

당시 대한적십자사는 북한 적십자사에 "1천만 이산가족찾기 운동을 위한 회담'을 제의했다.

이에 북측이 호응하면서 그 해 8월12일 판문점에서 첫 남북적십자회담이 이뤄졌다.

그러나 실제 첫 상봉이 이뤄지기까지는 그로부터 또 15년 가까이 세월이 흘렀다.

순수한 인도적 문제로 아무 장애가 없을 것 같았지만, 온갖 정치적인 문제가 앞을 가로막았다.


본회의 개최를 위한 예비회담만 근 1년 동안 25차례나 진행됐다.

본회의에서 한적은 주소 생사확인-서신교환-자유 방문과 상봉-재결합 방식을 제시했다.

그러나 북적은 남측의 국가보안법 철폐, 반공단체해체 등 이른바 '조건환경론'을 내걸었다.

결국 본회담도 약 1년만에 결렬되고 말았다.


회담은 1980년 한적의 북한 수재 지원 물자 전달을 계기로 재개됐다.

그러나 회담은 난항을 거듭하다가, 1985년 5월에 가서야 가까스로 합의가 이뤄졌다.

제8차 본회담에서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 교환'에 합의한 이 합의한 것이다.

이어 그해 9월20일부터 23일까지 역사적인 첫 고향방문단과 예술공연단 교환이 성사됐다.

방문단은 이산가족 51명, 기자와 수행원 50명, 예술공연단 50명 등 남북 각각 151명이었다.


그러나 이는 1회성 행사에 그치고 말았다.

이후 남북적십자회담은 북측의 온갖 정치적 요구로 결렬과 재개를 거듭했다.

그러다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의 베를린선언과 제1차 남북정상회담 성사로 물꼬가 터졌다.

6.15 남북공동선언에 따라 그해 광복적을 계기로 이산가족고향방문단 교환이 이뤄진 것이다.


이후 2010년까지 18차례 방문단 교환이 이뤄졌고, 2015년부터는 화상상봉도 진행됐다.

이처럼 정례화가 정착되는듯 했던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은 2010년 이후 다시 어려워졌다.

남북관계의 부침에 따라 몇년 만에 재개됐다가 다시 중단되는 등 진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결국 2018년 8월 21차 상봉행사를 마지막으로 현재 중단된 상태다.

통산 상봉 건수는 약 4천5백 건, 화상상봉도 약 560 건으로 전체 상봉 신청의 4%도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