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클로즈업 북한

2005년 남북농업협력위원회

2018-09-20

ⓒ KBS News

남북 관계 개선의 새로운 교두보를 마련한 평양 정상회담으로 남북 경제 협력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남북 농업협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 농업협력은 대북 제재 아래서도 인도적 지원이 가능한 비정치 분야로 꼽히기 때문이다. 

남북을 하나로 묶고, 통일 이후의 식량 문제를 대비할 수 있는 농업 협력. 

이 원대한 사업이 밑그림이 된 2005년 남북농업협력위원회의 활동을 살펴보자. 


남북간 최초의 농업 분야 회담체인 ‘남북농업협력위원회’ 

2005년 8월 20일. 남북 간 최초의 농업 분야 회담체인 남북 농업협력위원회가 합의문을 타결했다. 18일부터 20일 새벽까지 개성에서 협상을 벌인 결과, 남북이 합의한 내용은 7개항.

우선 북측의 특정 지역에 협동 농장을 선정하고, 여기에 남측이 육묘시설과 농기자재, 영농기술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업과학기술 분야와 축산과 잠업, 특용작물 등의 분야에서도 협력 사업을 발전시키고 우량 유전자원의 교환, 육종 재배기술도 협력하기로 했다.


그간 농업 협력에 소극적이었던 북한

북한은 그간 농업협력에 소극적 태도로 일관해 왔다. 그러나 개성 회의에서는 협력의 구체적 방식을 둘러싼 초기의 팽팽한 이견을 뒤로 하고 한국 측의 요구를 수용했다. 그 배경에는 식량난이 있었다.

1990년대 자연재해와 고난의 행군시기를 거치며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겪은 북한은 이후,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렸다. 당시 최대의 고민거리였던 농업 생산성을 늘리기 위해서 한국과 농업협력위원회를 연 북한은 협동농장 구성을 중심으로 한 협력 사업에 합의함으로써 남북농업협력의 새로운 출발점을 마련했다.


시범 사업으로 금강산과 개성에 협동 농장 세워

이 같은 사업을 현장에서 담당할 추진체로 만들어진 ‘통일농수산사업단’은 협동농장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금강산과 개성의 협동농장과 공동영농사업을 전개한‘통일농수산사업단’.

특히 금강산 지역에서는 삼일포 협동농장, 금천리 협동농장 등 11개 협동농장, 1,200㏊를 대상으로 사업을 펼쳤다. 한국 농법을 보여주기 위해서 처음에는 식량 증산에 중점을 두고 한국의 우량 품종을 심고, 이앙기 등 영농 기계를 도입했다. 농촌진흥청의 기술지원도 더해진 결과, 북측보다 2배 이상 많은 수확을 거둘 수 있었다. 같이 농사를 지으면서 남북 영농 방식의 장단점을 파악한 북측은 한국 품종을 재배할 지역의 면적 확대를 요청하고, 한국의 영농기술에 기대감을 표했다.


이후, 농업 분야의 남북 협력 확대돼

이후 농업 분야의 남북 협력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됐다. 옥수수와 감자의 종자개량, 양계장 및 채소온실 설치 등 여러 분야에서 진행된 사업 중 손꼽는 분야는 양돈 사업이다. 금강산 경내 성복리에 만들어진 양돈장은 큰 성공을 거두며 금촌리와 삼일포에도 하나씩, 더 짓자는 북측의 제안이 있을 정도였다.

이 같은 성과를 토대로 2007년에는 개성공단 인근에 농업특구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됐다. 2005년 합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농업관련 시설을 모은 특구 조성으로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균형적인 농업발전을 꾀한다는 통일부의 계획이다. 

올해 남북 정상의 만남으로 평화무드가 조성되자 ‘통일농수산사업단’은 사업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 일회성 지원을 넘어 영농기술 지원 등 인프라 구축으로 상생의 남북 농업 협력 시대가 재개되는 날을 기대한다. 더 나아가 이제는 친환경 농업 사업이라는 남북 농업의 새로운 길이 될 것을 믿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