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우수성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조선 왕릉은 조선 왕조 500여년 동안의 왕과 왕비의 무덤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유적지다. 500년 이상 이어진 한 왕조의 왕릉이 훼손 없이 온전히 남아 있는 예는 세계적으로 조선 왕릉이 유일하다.
조선의 왕과 왕비, 추존왕과 왕비의 무덤은 모두 42기로 이 중 북한에 있는 2기를 제외하고 모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출처: 문화재청

  • 조선왕릉의 요건

    왕릉은 유교와 풍수를 기준으로 조성되었는데 우선 풍수적으로 남쪽에 물이 있고 뒤로는 언덕에 의해 보호되는 배산임수의 터이며, 멀리 산들로 둘러싸여 주변과 격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자리를 선택하고 유교 예법에 따라 능역의 공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왕이 하루만에 다녀올 수 있는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대부분의 왕릉이 수도인 한양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 출처: 문화재청

  • 조선왕릉의 구조

    조선 왕릉은 속세의 공간인 진입공간(재실, 연못, 금천교), 산 자가 죽은 자를 맞이하여 제사를 지내는 제향공간(홍살문, 정자각, 수복방), 그리고 죽은 자를 위한 성역공간(비각, 능침공간) 의 3단계로 구분되어 조성되었다.
    속세와 성역을 구분하는 금천교를 지나면 신성한 장소임을 뜻하는 붉은색 홍살문이 나오는데 이 앞에는 ‘참도’ 라는 길이 이어진다.
    참도는 죽은 왕이 이용하는 신도와 살아 있는 왕이 이용하는 어도로 나누어져있고 봉분 앞에는 다양한 석물과 문·무석인 등의 기본적인 구성이 갖춰진다.

    • ① 홍살문
    • ② 정자각
    • ③ 수복방
    • ④ 수라간
    • ⑤ 참도
    • ⑥ 문석인
    • ⑦ 무석인
    • ⑧ 장명등
    • ⑨ 봉분

국장 관련 의궤

조선 왕조는 국가의 중요한 행사시 전 과정을 일일이 기록하여 책으로 남겨놓았는데 바로 ‘의궤’이다.
국장 관련 의궤에는 왕릉을 만들 때 어떤 의도로 터를 잡고 조성에 들어간 경비나 자재는 무엇이고 장례기간은 언제였는지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상세한 그림으로도 작성되어 있어 선대 왕에서 치러졌던 장례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워도 시행착오없이 원형을 그대로 유지, 복구할 수 있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참조: 숙종국장도감의궤

산릉제례

산릉제례는 조선조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제사의식으로 유교의 충과 효를 상징하는 예제다.
조선왕조 600년 동안 거행한 국가 제사였으나 조선왕조가 막은 내린 후 현재는 왕실 후손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