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초점]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전망

2007-08-09

뉴스

 [초점]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전망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 논의할 문제가 너무 많다. 현안이 많이 쌓여 있는 것이다.
이는 곧 큰 합의로 한반도 평화의 물꼬를 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고, 또다시 원칙적인 합의를 되풀이하는 의례적인 회담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두번째 남북정상회담은 어떤 길로 갈 것인가.

예상 의제

노무현 대통령이 8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제시한 4가지 의제는 북한 핵문제, 한반도평화체제, 경제협력과 남북관계, 군비통제와 납북자 문제 등이다.

◆ 북한 핵문제
비켜갈 수 없는 문제다. 청와대는 "북핵 6자회담의 결과를 공고화할 가장 적절한 시기'에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공언해 았다. 그러므로 이는 정상회담의 유일한 변수이자 명분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핵심의제가 될 것이며 이 문제를 제외하면 다른 의제는 무의미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한반도 평화체제
현재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 북한 핵문제 해결의 최종단계로 현재 실제로 추진되고 있는 의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는 북한 핵문제와 맞물려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다. 즉 한반도의 평화체제 전환이 북한 핵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반대로 북한 핵문제 해결의 진전이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 경제협력과 남북관계
실질적인 쌍무관계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의제다. 남북교류협력이 아직 제도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정치 상황에 따라 기복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협과 남북관계를 한차원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

◆ 군비통제와 납북자 문제
군비통제는 남북관계의 발목을 잡는 변수 중 가장 어려운 문제다. 남북국방장관회담이 열리고는 있지만, 결국 최고위급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실질적인 현안이 된다. 이외에 납북자 문제, 서해의 북방한계선 문제 등 가장 민감한 현안도 다뤄져야 할 것이다.

전망

네 가지 의제가 모두 연계돼 있고, 모두 민감한 부분을 건드리고 있다. 그러므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할 수 있다.

◆ 전반적인 합의 - 사실상 답보
북한 핵 문제는 남북이 답을 찾으면 쉽게 해결될 수도 있지만,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남북만의 문제가 아니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북한이 남북관계에서 해법을 찾으려 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하나가 풀리지 않으면 다 풀리지 않을 수 있는 의제의 특성상, 이런 경우, 원칙적인 합의를 내놓는 선에서 마무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실상 남북관계는 답보상태라 할 수 있다.

◆ 일부 합의 일부 유보
쉬운 문제부터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일부 현안에서는 구체적인 합의를 내놓고 민감한 부분은 원칙적인 합의에 머무르는 것. 실질적 진전일 수도 있고, 사실상 답보일 수도 있다. 즉 양쪽 가능성을 다 가지며, 그것은 향후의 정치 안보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라는 뜻이 된다.

◆ 실질적 진전
6.15 공동선언에서 한 걸음 나아간 실질적인 진전을 담아내는 것. 물론 정상회담의 성격상 구체적인 사안에 일일이 합의하기는 어렵다. 즉 합의의 정신이 어느 방향, 즉 공허한 원칙을 되풀이한 것인지, 실제적인 진전 의지를 담은 것인지를 보고 평가해야 한다.

◆ 전망
정상회담이라는 성격상 원칙적 합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공동의 발표 문건이 채택된다면, 그 행간의 뜻을 읽어, 앞의 세 시나리오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해야 할 것이다.
가장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두번째로, 모든 현안에 대해 원론적인 입장, 즉 합의를 밝히고, 한 두가지 구체적인 사안을 제시함으로써 진전의 상징, 이른바 '정상회담의 선물'로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그것은 경협·남북관계 분야에서 나오기 쉽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