进入菜单 进入原文
Go Top

文化

《烈日》- 金裕贞

2022-01-25

ⓒ Getty Images Bank

生得五大三粗的德淳用右手扯起左手袖口,胡乱地抹去鼻梁上的汗珠,在通安十字路口停下了脚步。

他抬起被太阳晒得通红的脸庞四处看了看,中伏天的烈日下面,路人们都躲在屋檐下的阴凉里行走。



越是怪病、越是难治,钱应该给得越多吧?德淳心里很是好奇,妻子得的这种怪病到底值多少钱?小孩子能拿10圆的话,她这情况该有15圆吧?真这样的话,又能治病,还能有好吃好喝,这不是撞大运了吗?就在德淳有的没的胡思乱想的时候,远处一个正在卖香瓜的孩子吸引了他的视线,德淳马上想到了荷包里的4个铜板,不过立刻就明白这是行不通的,便悻悻地收回了视线。这4个铜板可是他从昨天开始就一直紧紧攥着的,再加一个铜板就可以买一包香烟,绝对不会因为香瓜轻易花掉,他德淳可不是这样的人。         

병이 괴상하면 할수록 혹은 고치기가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월급이 많다는 것인데

영문 모를 아내의 이 병은 얼마짜리나 되겠는가고

속으로 무척 궁금하였다.

아이가 십원이라니 이건 한 십 오원 쯤 주겠는가,

그렇다면 병 고치니 좋고, 먹으니 좋고,

두루두루 팔자를 고치리라고 속안으로 

육자배판을 늘이고 섰을 때,


조만치서 참외를 벌여놓고 앉았는 아이가 시선을 끌어간다.


덕순이는 쌈지에 든 잔돈 사 전을 얼른 생각은 하였으나

다음 순간에 그건 안될 말이라고 꺽진 마음으로 시선을 걷어온다.


사 전에 일 전만 더 보태면 봉지담배 한 봉이 되리라고

어제부터 잔뜩 꼽여 쥐고 오던 그 사 전,

이걸 참외 값으로 녹여서는 사람이 아니다.



小说主人公德淳原来是个农民,在日本强占时期,农村变得极度贫困,于是便来到了城市里,但城市也没成为他的避难处。小说的题目是《烈日》,对主人公夫妇来说,城市就好像是严酷的烈日。小说中对城市风景的描写是没有一丝风情的街道、令人窒息的厚重灰尘等,其实就是对让德淳一家人变得愈发贫困的无情的世态的比喻。德淳妻子的病也把他们的艰难生活展现得淋漓尽致。一般家人生病后,人们首先应该是担心,但德淳却在计算妻子的病值多少钱,盘算着越是难治的病是不是会得到越多的钱。德淳的这种表现看起来虽然有些无情,但也从一个侧面暴露出德淳夫妇生活陷入了多么严重的困境。



现在剩下的日子对于德淳的妻子来说,就只剩下躺回到冰冷的炕头,等待着死亡的来临了。

德淳用拳头拭去快要流进眼睛里的汗水,想象着即将到来的那漆黑的未来。辛辛苦苦地来到首尔讨生活,却吃尽了苦头,现在连婆娘也要失去了。

“我这命怎么这么苦啊”德淳把涌到嗓子眼儿的悲叹咬紧牙关咽了下去,只是发出了一声叹息。

中伏天的烈日实在太猛,仿佛连牛角也能晒化。

德淳两只手交替着抹去背上不断流下的汗水,而妻子则坐在背架上絮絮叨叨地说一阵儿,又哭一会儿。


인제 남은 것은 우중충한 그 냉골에 갖다 다시 눕혀 놓고

죽을 때나 기다리고 있을 따름이었다.


덕순이는 눈 위로 덮는 땀방울을 주먹으로 훔쳐 가며

장차 캄캄하여 올 그 전도를 생각해 본다.

서울을 장대고 왔던 것이 벌이도 제대로 안 되고

게다가 인젠 아내까지 잃는 것이다.


이 놈의 팔자가 하고 딱한 탄식이 목을 넘어오다 

꽉 깨무는 바람에 한숨으로 터져 버린다.


때는 중복, 허리의 쇠뿔도 녹이려는 뜨거운 땡볕이었다.


덕순이는 빗발같이 내려붓는 등골의 땀을

두 손으로 번갈아 훔쳐 가며 끙끙 내려올 제,

아내는 지게 위에서 그칠 줄 모르는 그 수많은 유언을

차근차근 남기자, 울자, 하는 것이다.




作者 金裕贞(김유정  1908—1937),江原道春川人。1935年发表小说《雷阵雨》(소낙비) 登上文坛。

推荐内容

Close

为了向听友提供更好的服务,KBS WORLD Radio网页正在应用Cookie和其它相关技术。您持续浏览本台网页,将被视为您已同意利用上述技术和本台的《个人信息处理方针》政策。 详细内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