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강력해진 '바이 아메리칸', 한국 경제에 위기? 기회?

#이 주의 초점 l 2021-05-24

ⓒ YONHAP News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길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우리 기업들이 대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내 반도체·배터리 분야 등에 투자하겠다는 건데 그 규모가 우리 돈 44조 원에 이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미국을 우선시하는 경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반도체 등 첨단기술의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고 강력한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데 참여하라며 세계 각국과 기업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기업의 미국 현지 투자계획도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또 다른 기회이자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지만, 국내 투자 위축, 일자리 감소 등도 우려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바이 아메리칸' 정책, 과연 한국 경제와 기업에 위기인지, 기회일지. 미중경제산업연구소 조용찬 소장과 살펴본다.


반도체·車·배터리…'바이 아메리칸'에 44조 쏜다

현대차그룹이 4대 그룹 중 가장 먼저 투자계획을 밝혔는데, 앞으로 5년간 총 74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바이든 정부의 '바이 아메리칸' 기조에 발맞춰 전기차 현지 생산에 나선다는 계획인데 생산설비 확충은 올해 하반기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해 가을부터 미국 시장에 출시되는 '아이오닉 5'를 내년부터 미국서 생산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기업도 미국 투자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LG, SK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 미국 투자에 속도

SK이노베이션은 또 미국 완성차 2위 업체인 포드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법인이 배터리 생산을 위해 투자하는 6조원을 포함해 SK이노베이션은 중장기적으로 미국에 약 9조 원을 투자하게 된다.

국내 반도체 업체 역시, 미국 현지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내 신규 반도체 위탁생산, 파운드리 공장 구축에 17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4대 그룹 대미 투자금의 절반을 차지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성장이 예상되는 파운드리 신규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삼성전자는 최근 정부의 K반도체 전략에 맞춰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는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내 투자계획도 확정한 것이다.

SK하이닉스는 10억 달러를 투자해 실리콘밸리에 인공지능 등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이들 4대기업이 미국 현지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규모는 총 400억 달러, 한화로 44조원 가량이다. 

이처럼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가장 큰 배경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바이 아메리칸' 정책이 있다.


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에 대미투자 압박 커져

문제는 세계 각국과 기업에게도 '바이 아메리칸' 정책 참여를 압박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맹도 예외가 아니다. 

일각에선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미국 우선주의'보다 압박의 강도가 더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세계 파운드리 1위 업체인 대만의 반도체 회사 TSMC도 당초 미국 현지 공장을 한 개 짓는다고 했다가 5개를 늘려 총 6개를 짓겠다는 파격적인 계획을 밝혔다. 이런 흐름 속에 국내 기업의 대미 투자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바이든에 ‘44조’ 선물…국내 4대 그룹 ‘러싱 투 아메리카’

이러한 국내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미국 시장의 규모를 고려한 기업들의 불가피한 선택이겠지만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상대적으로 국내 투자가 적어져서 국내에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 미국의 '바이 아메리칸' 정책의 저변엔 중국의 기술 굴기를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어서 이 또한 미중 양국 의존도가 모두 높은 한국기업에겐 부담이 된다.


바이 아메리칸..우리 경제와 기업에 기회이자 우려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휘청였던 미국 경제를 백신 보급과 강력한 정책으로 빠르게 정상 궤도로 올려놓고 있다. 수출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는 이 같은 국제 통상환경 개선이 반갑기만 하다. 하지만 미국 중심의 경제 정책에 따른 수혜를 기대하는 것 만큼이나 리스크도 철저히 대비해 혹시 모를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해 보인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