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차 남북정상회담의 의제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면서 앞으로 북측과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 특사로 방북해 남북정상회담 개최 문제를 협의했던 김만복 국정원장은 8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논의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습니다.
김만복 국정원장은 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이뤄지지 않고 2차 남북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한 이유에 대해 우리는 그동안 남북정상회담의 문을 항상 열어놓고 있다는 입장을 가져왔으며 회담의 시기와 장소에 대해서도 구애받지 않는다고 했다면서 북측이 노무현 대통령을 잘 모시기 위해서는 평양이 좋다고 해서 그렇게 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백종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실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미.중.일.러 한반도 주변 네 나라도 필요성을 공유해왔다고 말했습니다.
백종천 안보실장은 이와 함께 남북정상회담은 6자회담의 선순환 차원에서 남북관계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언제든 개최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었다면서 대선 등 국내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이 추진됐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