进入菜单 进入原文
Go Top

文化

吴永寿的《胶鞋》

2020-07-14

ⓒ Getty Images Bank

这时不知从哪儿飞来一只大马蜂,在南怡的脸周围嗡嗡地飞来飞去。马蜂突然落在南怡衣服的前襟上,慢慢地向她的胸口爬去。小伙子情急之中,向前一步,把手掌拱起,一下子扣在了马蜂上。南怡非常慌张,耳根都变红了。她后退一步,马蜂狠狠地蜇了小伙子一口。小伙子疼得张开了手掌,又是用嘴去吹,又是不停地抖动。南怡看着好笑,用手捂着嘴嗤嗤地笑起来。小伙子哭笑不得,看着笑得前仰后合的南怡,发现她的小虎牙格外可爱。 


이 때 난데없이 굵다란 벌 한 마리가 날아와

남이의 얼굴 주위를 잉잉 날아돌더니

남이 저고리 앞섶에 붙어 가슴패기로 기어오르고 있다.

조마조마 보고 있던 엿장수는 한 걸음에 뛰어들어 손바닥으로 벌을 딱 덮어 눌렀다.

남이는 당황하면서도 귀 언저리를 붉히고 한 걸음 뒤로 물러서자,

이번엔 그만 엿장수의 손바닥을 쏘아 버렸다.

엿장수가 쥐었던 손을 펴 불며 털며 하는 꼴이 남이는 어떻게나 우스웠던지 

그만 손등으로 입을 가리고 킥킥하고 웃어 버렸다.

엿장수는 반은 울상, 반은 웃는 상, 남이를 바라보는데 남이의 송곳니가 무척 예뻐 보였다.



被孩子们拿去换糖吃、让南怡格外伤心的胶鞋似乎给她带来了一份新的缘分。



小伙子每天都会来,每次来了就不愿离开。有的时候他开心地笑着,这样的日子会分给孩子们麦芽糖吃;有的时候他沉默无语,这样的日子是尝不到麦芽糖的。日子久了,孩子们一看到小伙子,都会最先看他的脸色。最近小伙子头发更蓬松了,还涂了头油,硬是用梳子整整齐齐地梳向一边。他甚至还穿上了一件玉色的人造棉马甲。“麦芽糖后生这是要娶媳妇了吗?”熟识的大婶儿们调侃着。小伙子羞涩地咧嘴一笑,悄悄地低下了头。


엿장수는 한결같이 왔고, 와서는 갈 줄을 몰랐다.

어떤 날을 싱글벙글 웃었고, 웃는 날은 애들에게 엿을 나눠 주었으나

벙어리처럼 덤덤히 앉았다가 가는 날은 엿 맛을 못 보았다.

그렇기에 아이들은 엿장수가 오면 

옆판보다 먼저 엿장수 눈치부터 보는 버릇이 생겼다.


요즘은 더 텁수룩한 머리에다가 기름 칠갑을 해 가지고는

억지로 빗어 넘기고 또 옥색 인조견 조끼도 입었다.

“엿장수 요새 장가갔는가 베?”

낯익은 동네 아낙네들이 이런 얘기라도 할라치면

엿장수는 수줍게도 씩 웃으며 그 펑퍼짐한 얼굴을 모로 돌리곤 했다.



南怡和小伙子互相有意,但小说中并没有明确地写出来,只是通过对周围事物的描写来表现了出来。就在两个人情窦初开的时候,周围的一切就像在代言他们的心情:天气每天都那么明媚,垂柳摇曳,花儿也在盛开,就好像南怡和小伙子正在发芽的爱情一样。




作家吴永寿(오영수,1909.2.11 ~1979.5.15) ,1950年凭借短篇小说《山葡萄》(《머루》)步入文坛。1955年获得第一届韩国文学家协会奖等。

推荐内容

Close

为了向听友提供更好的服务,KBS WORLD Radio网页正在应用Cookie和其它相关技术。您持续浏览本台网页,将被视为您已同意利用上述技术和本台的《个人信息处理方针》政策。 详细内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