进入菜单 进入原文
Go Top

文化

《剩余人间》- 孙昌涉

2022-02-08

ⓒ Getty Images Bank

凤友说自己养成这样的睡眠习惯要归咎于6.25事变。当时他错过了避难出逃的机会,在首尔东躲西藏整整三个月。当时因为满心是对赤色分子和空袭的恐惧,根本无法安心入睡,也就是说,无论白天还是黑夜,一天24小时都处于紧张状态。而这种紧张感不知从什么时候起成了痼疾,一直保持到现在。



翼焌对不合理的现实满腔不满,愤愤不平,不过对自己却总会网开一面。

跟翼焌相比显得更加瘦骨嶙峋的大个子凤友则只是胡乱瞅一眼新闻报道的题目,然后时不时地瞟一眼仁淑,就这么无所事事地一待就是大半天。

牙科医生万基医术高超,人品也很优秀,所以很受大家信赖,但是因为医院设施过于落后,无法治疗更多的患者,因此经济上总是很窘迫。

而且他的牙科所在的建筑以及诊所里的各种器具都是凤友岳母家的。


익준은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며

자신을 합리화하는 인물이였습니다.

그에 비해 빼빼 마른데다 키만 멀쑥한 봉우는

건성건성 기사의 제목만 훑어보고는 

인숙만 흘끔거리며 한나절을 보냈습니다.

치과의사인 만기는 실력도 좋고 인품도 좋아 누구나 신뢰했지만

빈약한 병원 시설로 많은 환자를 치료하지 못해 경제적으로는 늘 가난했고

더구나 현재의 건물이나 병원 기구들도 모두

봉우 처가의 소유였습니다.



有趣的是,在2010年代韩国社会流行起一个词——剩余人间,也就是剩余人群,指的就是那些由于就业难等问题,在现实中陷入彷徨迷茫的人群。而早在20世纪50年代,孙昌涉已经使用有类似含义的这个词了。6.25战争后,丧失了生活意志和梦想的翼焌和凤友无疑就是这类人。作者对战后韩国社会的极度荒凉和阴暗做了细致的描写,生动地刻画出了无法适应这一现实的各种人物。



看样子翼焌的头受伤了,他手里拎着一个纸包,给孩子们买的橡胶鞋从里面露出头来。

他面无表情,朝着人群的方向一动不动地站着,看起来就像是一尊石像,感觉不到一丝人的气息。

“老天爷啊,你为什么不把我这个老不死的带走,阎罗王也糊涂了吗”——翼焌的岳母望着女婿自言自语,这时才禁不住留下了眼泪。

孩子们却还是高兴的。

7岁的老幺一边喊着“爸爸”,一边跑过去抱住翼焌的腿。

“爸爸,我,穿着新衣服,坐着车去山里了”,那孩子掀起丧服的衣角让爸爸看,但翼焌却毫无反应,仍然像根柱子一样定定地站在那里。


익준은 머리에 상처를 입은 모양이었다.

한 손에는 아이들 고무신 코승이가 비죽이 내보이는

종이 꾸러미를 들고 있었다.

그는 무표정한 얼굴로 

이쪽을 향하고 꼼짝 않고 서 있었다.

석상처럼 전연 인간이 느껴지지 않는 얼굴이었다.


어이구, 차라리 쓸모없는 저 따위나 잡아가지 않구 염라대왕두 망발이시지, 하며

익준의 장모는 사위를 바라보면서 그렇게 중얼대고

인제야 눈물을 질금거렸다.


그래도 아이들이 제일 반가워했다.

일곱 살 먹은 끝의 놈은 아버지, 하고 부르며

쫒아가서 매달렸다.


아부지, 나, 새 옷입구, 자동차 타구 산에 갔다 왔다,

어린 것이 자랑스레 상복 자락을 쳐들여 보여도

익준은 장승처럼 선 채 움직일 줄을 몰랐다.




作者 孙昌涉(손창섭,1922平安南道平壤~2010.06.23),1952年发表短篇小说《公休日》(공휴일)登上文坛。

推荐内容

Close

为了向听友提供更好的服务,KBS WORLD Radio网页正在应用Cookie和其它相关技术。您持续浏览本台网页,将被视为您已同意利用上述技术和本台的《个人信息处理方针》政策。 详细内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