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펜스 부통령, 문재인·안철수 후보 면담 요청 거절"

워싱턴포스트16일 방한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면담 요청을 거절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백악관 외교정책 고문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조시 로긴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에 따르면 펜스 대통령은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것처럼 비칠까 봐 두 후보의 면담 요청을 거절했으며, "우리는 누가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되든 그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고 이 고문은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차기 대선 결과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북정책이 좌절할 가능성도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우려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차기 대통령으로 유력한 문재인, 안철수 두 후보 모두 역대 가장 친미적인 대통령이었던 박근혜 대통령과는 다르다며, 이들의 대북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문 후보는 현재 미국의 가장 시급한 사안인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발언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제재와 어긋나는 개성공단 재개 방침도 밝혔습니다.
제재보다는 대화를 강조하는 그의 입장은 미국보다는 중국의 전략과 들어맞는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분석했습니다.
안 후보는 사드 배치를 지지하지만, 중국이 대북 문제에 있어 협력한다면 이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 또한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펜스 대통령의 방한에 동행한 백악관 외교정책 고문은 "사드 배치는 한국 정부의 결정에 따라 수주 또는 수개월 늦어질 수도 있다"며 "솔직히 말해 사드 배치 결정은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내리는 것이 맞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격변이 대북정책에 던지는 도전을 알기에 조셉 윤 미국 국무부 특사가 지난달 방한해 대선 후보들을 만났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차기 한국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반대한다면 어떠한 계획으로 대처할지를 미 행정부가 신속하게 정하지 않는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정책은 시작도 전에 끝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