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쑤 우리가락 우리음악의 종류 5. 판소리 2011-09-28 ‘판’은 장기판, 바둑판이나 널판지처럼 표면이 반반한 기구를 가리키며 때로는 넓은 마당을 뜻하기도 하고, ‘씨름 한 판’이라고 할 때처럼 승부를 겨루는 단위를 나타내기도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음악의 종류 4. 풍류음악 2011-09-21 ‘풍류’란 ‘멋스럽고 운치가 있는 일이나 그렇게 노는 것’을 가리키기도 하고, 그렇게 놀 때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음악의 종류 3. 토속민요 2011-09-14 노래를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은 일반 백성들이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흥얼거리며 부르던, 각 지방의 노래를 토속민요 혹은 향토민요라고 한다. 일노래로는 농사를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음악의 종류 2. 지역별 민요(民謠) 2011-09-07 궁중이나 양반 같은 지배계층이 아닌 일반 백성들이 즐기던 노래를 민요라고 한다. 민요는 전국을 떠돌며 연희를 하던 유랑 예인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불리는 노래도 있고, 한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음악의 종류 1. 산조(散調) 2011-08-31 산조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기악독주곡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100여년 전인 1800년대 말, 조선시대 후기에 전라남도 영암 출신의 가야금 연주자인 김창조가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7. 엇모리장단과 휘모리장단 2011-08-24 ‘엇’은 바르지 않고, 어긋나거나 비뚤어진 것을 뜻한다. 음악에 있어서는 가락이나 장단에 일정한 흐름을 깨는 형태의 악곡을 가리킬 때, 이 ‘엇’이라는 접사를 사용한다.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6. 자진모리 2011-08-17 ‘잦다’는 말은 거듭되는 간격이 매우 짧아서, 금방 금방 잇따라 나온다는 의미이다. 자진모리는 박과 박 사이의 간격이 짧은데서 온 말로, ‘빠른 장단’이라는 뜻이 된다.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5. 중중모리 2011-08-03 중모리는 산책을 할 때의 걸음걸이처럼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중간 정도의 속도로 진행된다. 그보다는 조금 빠르고 굴곡이 있지만, 자진모리보다는 여유로운 장단이 중중모리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4. 중모리 2011-07-27 '중모리'는 '중간 속도로 몰아간다'는 의미이다. 3박이 4개 모인 12박으로, 진양조처럼 한 장단 안에서 밀고, 달고, 맺고, 푸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느리지도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3. 진양조 2011-07-20 오늘부터는 민속기악독주곡인 산조에 주로 사용되는 장단을 살펴본다. 산조는 1800년대 말에 생겨난 음악 양식으로, 연주자가 일정한 장단 구성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 얼쑤 우리가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