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2. 세마치 장단과 굿거리 장단 2011-07-13 이번 시간에는 민요에 자주 사용되는 장단 중에서 세마치 장단과 굿거리 장단에 대해 알아본다. 세마치 장단 덩 덩 덕 쿵덕 세마치 장단은 ‘세 번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우리장단 시리즈 1. 풍류악 장단 2011-07-06 장단 장단은 서양음악의 ‘리듬’과 비슷한 말로, 음악의 빠르기와 박자, 그리고 강약을 포함한다. 기악이든 노래든, 장단은 북이나 장구 같은 타악기가 담당하는데,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10. 장구, 북 2011-06-29 장구(杖鼓) 장구는 모래시계 모양으로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갔다고 해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 송나라로부터 전해져 중국 전래의 악기에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9. 양금, 퉁소 2011-06-22 양금(洋琴) 양금은 ‘서양에서 들여 온 현악기’라는 의미이다. 원래 아랍권에서 연주하던 악기로 중세 이후 유럽에도 널리 퍼졌으며, 이것이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8. 생황, 단소 2011-06-15 생황(笙簧) 생황은 한국의 전통관악기 중에서 유일하게 화음을 낼 수 있는 악기이다. 전설에 의하면 중국의 여신인 ‘여와’가 사람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7. 태평소 2011-06-08 태평소는 쇄납, 호적(胡笛), 날라리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파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쇄납’은 태평소의 기원이 중동에 있음을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6. 피리 2011-06-01 우리나라에서는 입으로 부는 악기는 모두 ‘피리’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전통 음악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피리는 길이 약 30cm에, 어른 손가락 두께만한 대나무 관대에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5. 아쟁 2011-05-25 아쟁은 고려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승된 현악기로 우리 음악에서 가장 낮은 음을 담당한다. 우리 악기 중에는 활대로 줄을 긁어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에 해금과 아쟁 밖에 없기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4. 해금 2011-05-18 해금은 북방 기마민족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중국을 거쳐 전해졌다. 대나무로 만든 울림통 위에 지지대가 되는 막대를 세우고, 위 아래로 두 개의 줄을 ... 얼쑤 우리가락
#얼쑤 우리가락 악기시리즈 3. 대금, 소금 2011-05-11 대금은 길이 1m정도 되는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젓대’라고도 하며, 어깨에 수평으로 얹고 연주를 한다. 입김을 불어 넣는 취구(吹口)와 ... 얼쑤 우리가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