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역사

고려 건국의 의미

2013-06-15

후삼국은 통일한 고려는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와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많다.
고려왕조의 탄생 배경을 통해 고려 건국이 한국 역사에서 갖는 의미를 국민대 국사학과 박종기 교수와 함께 얘기를 나눈다.

한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
고려 왕조의 탄생은 한국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
고려의 탄생은 통일 신라의 역사적 상황과 연관이 깊다.
고구려, 백제 , 신라를 통일한 통일 신라의 경우 신라를 중심으로 한 통일이다. 통합 후에도 진골을 중심으로 한 신라의 세력이 중시이 돼 왕권 다툼을 계속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 백제 출시들, 그리고 진골에 속하지 못한 신라의 소외 세력들의 불만이 커져갔고 지방 세력화 됐다. 견훤과 궁예 등 지방 세력이 막강해지고 지방 출신인 왕건이 궁예 세력과 규합하면서 고려 왕조를 건국하는 세력이 된다.

물리적 통합 뿐 아닌 사회 문화적 통합
고려의 탄생은 물리적인 통합 뿐 아니라 고구려, 백제, 신라의 문화, 사회, 사상을 통합하는 실질적인 통합이다.
왕건도 지방 세력으로 친족들이 주로 대외무역으로 부를 쌓았다. 또 지방에 농지를 가진 촌주들, 신라의 진골에 속하지 못한 소외세력들이 모여 지방 호족 세력을 막강하게 했다.
지방 세력들이 집권하자 지방이 소외됐던 백성들은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됐다. 힘에 의한, 신라의 일부 세력에 의한 중앙 통치권의 장악으로 만들어진 통일 신라에 비해 다양한 계층의 지방 세력들이 규합돼 탄생한 것이 고려왕조라는 점에서 고려가 삼국의 실질적인 통합을 이뤘다고 할 수 있다.

종교도 개방적
고려는 사회도 다원적 개방성을 표방했는데 종교에서도 개방적인 면을 보였다. 겉으로는 불교 중심적인것 처럼 보였다. 그러나 훈요십조에 기록된 것을 보면 고려는 유교, 도교, 풍수지리설 등 다양한 종교와 신앙을 포용하고 인정했다.
고려의 통합은 많은 줄기가 모여 거대한 호수를 이루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 , 문화를 인정하고 대외 개방 정책 등으로 다양성과 개방성, 포용성을 실천한 왕조로 역사상 큰 의미가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