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역사

여왕의 나라, 신라의 꿈! 삼국통일

2009-07-18

여왕의 나라, 신라의 꿈! 삼국통일
1915년 경주 분황사 석탑에서 사리함이 하나 발견됐다. 그리고 이 사리함에서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바늘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금이나 은은 일반인이 사용하는 용품이라기보다는 왕실용품에 가까운 성격을 나타내기 때문에 분황사 사리탑이 선덕여왕의 발원에 의해서 세워진 것이라면 선덕여왕과 관련이 깊다.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
우리나라 역사상 여왕은 선덕여왕, 진덕여왕, 진성여왕 3명으로 모두 신라에서 나왔다. 특히 선덕여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으로 누구보다 강력한 신라를 꿈꿨다. 선덕여왕의 진평왕의 딸로 진평왕의 즉위시 나이는 최소 40대 중반이다. 더구나 삼국유사에서는 선덕여왕을 결혼까지 했던 여왕이라고 밝히고 있다.

당시에는 사회구조적으로 신분 혈통이 중요했는데 진평왕은 성골 남자가 없다는 것을 강조해 성골 여자가 즉위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었다. 그러나 진평왕이 아무리 왕권을 강화해서 그 기반을 다져도 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명분이 필요했다. 그리고 당시 일본에서는 40년 전에 이미 최초의 여성천황인 스이꼬 천황이 탄생해서 진평왕이 이 사실을 알고 후계자로 여왕을 택했을 것이란 추측도 있다.

하지만 신라는 전통적으로 그 어느 나라보다 귀족이 힘이 셌던 나라로 여왕의 계승을 지지하는 세력이 절실하게 필요했다. 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김유신과 김춘추이다. 김유신은 가야계 사람이고, 김춘추는 쫓겨난 왕의 진지왕의 손자로 당시 김유신과 김춘추는 유교적 지향성을 가지고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추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정통 진골 귀족에게 배척당하는 상황이었다. 선덕여왕은 두 인물의 지지 속에 여자도 왕위를 이을 수 있다는 강력한 배경을 갖게 되었다.

여성의 지위가 높은 신라
뿐만 아니라 선덕여왕이 왕이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당시 신라시대 여성의 지위가 높았다는 점도 들 수 있다. 1970년대, 왕릉으로 알려진 경주 황남대총에서는 꽤 많은 양의 유물이 쏟아져 나왔는데 그 중 유독 눈길을 끈 장신구가 있다. 바로 북쪽 무덤에서 나온 은제 허리띠와 금관이었다. 황남대총은 부부 무덤으로 추정되는데 남쪽은 남자의 무덤으로 금동제 관이 나왔고, 북쪽은 여자 무덤으로 순금제 관이 나왔다. 이는 여자의 신분이 남자보다 훨씬 높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경상북도 김천시 금오산자락의 갈항사 동서 3층 석탑은 신라 경덕왕 17년에 세워진 탑으로 여성에 의해 세워졌다. 이는 당시 신라 여성의 경제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인데 자기 뜻대로 재산을 시주할 만큼 당시 일반 여성들의 경제력도 충분했다는 이야기이다. 이처럼 신라는 많은 여성들이 재산을 불사에 시주했는데, 이는 개인 재산이 있었다는 뜻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신라시대에는 남녀의 차별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여자들이 길쌈을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길쌈은 단순한 놀이 차원이 아니었다. 당시에는 견포나 마포 같은 직물로 세금을 냈기 때문에 직물이 화폐 가치를 갖고 있었고 이 때문에 직물을 짜는 것은 경제 행위가 직결하는 것이었다.

2대에 걸쳐 왕위에 오른 여왕들
당시 신라의 배경이 아무리 여성의 힘이 강했다고는 하나 선덕여왕에 이어 진덕여왕까지 2대에 걸쳐 여왕이 왕위에 오르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니었다. 647년에는 여왕의 통치가 부당하다는 명분 아래 상대등 비담의 주도아래 반란이 일어났다. 비담은 자신의 왕위 계승을 기대했던 인물로 왕군을 능가하는 세력의 군사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김유신에 의해 열흘 만에 진압당하고 말았다. 김유신과 김춘추로 대변되는 신흥세력은 기존의 전통귀족을 누르고 일어나 삼국통일의 길을 열었다.

흔히 삼국통일이라고 하면 김유신과 김춘추를 떠올리는데 이들이 통일 역군으로 성장하는 데는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이 있었기 때문이다.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은 시대적인 과제가 통일이라는 것을 철저하게 인식하고 인재를 발탁하고 최대한 활용한 것이다.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김춘추가 왕위를 잇고, 다시 그의 아들 문무왕이 삼국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두 여왕의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