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역사

세종이 사랑한 천문학자, 이순지

2013-08-08

세종이 사랑한 천문학자, 이순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천문학자.
인류는 예로부터 시간을 측정해왔다.
하루, 한 달, 한 해 단위로 ‘달력’을 만들어서 일상생활에 활용했다.
우리가 보는 ‘달력’은
한 해의 양력과 음력 날짜, 24절기, 태양과 달이 나타나는 시각
그리고 달의 변화하는 모양 등이 담긴 <역서>를 바탕으로 만들어 진다.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역서>가 없었던 조선시대 초기에는
명나라에서 만든 ‘역서’를 사용했는데,
해마다 가을이 되면 ‘동지사’ 라는 사신을 북경에 보내서
다음해의 역서를 받아오곤 했다.

그러던 것이, 세종대왕 때에 들어서면서,
지금의 서울인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서’를 만들어
농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한양의 해 뜨는 시간과 해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우리 땅과 계절적 특성에 맞는 역법을 개발했는데,
이것을 <칠정산> 이라고 했다.

그리고, 한양을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인 <칠정산외편>을 만든 사람이 바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천문학자 ‘이순지’다.

조선의 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다.
조선시대에는, 달력이 단순한 날짜의 의미를 넘어서
왕조와 국가의 안위를 내다보기 위한 ‘점성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하늘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계산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특히, 세종대왕은, 천문기상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투자를 했다.

세종대왕을 도와 조선시대 천문학의 발달에 큰 공을 세운이가 바로 ‘이순지’다.
이순지는, ‘우리나라만의 역법을 이룩하면서 우리 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올려놓은 천문학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종 시대의 과학기술을 이야기 하면, 대부분 장영실을 먼저 떠올리지만
천문역법 분야에서 이순지의 역할은 독보적이었다.

당시의 역법이 정밀하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겼던 세종대왕이
여러 문신들 가운데 재능 있는 사람들을 뽑아서
역법에 필요한 산법(算法)을 익히게 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 이순지였다.

이순지가 세종대왕의 눈에 들게 된 계기는
한반도의 가운데가 북위 38도라고 계산을 하면서 부터였다.
이런 보고를 받은 세종대왕은, 처음에는 이순지의 말에 반신반의했다.
하지만, 나중에 중국에서 들여 온 역서를 보고
이순지가 계산한 결과가 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됐고,
1431년부터 이순지에게 천문 관측과 역법에 관한 일을 맡기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만의 역법을 만들다...

이순지가 세상을 떠난 뒤에 기록된 실록을 살펴보면,
‘지금의 간의(簡儀), 규표(圭表), 태평(太平), 현주(懸珠), 앙부일구(仰釜日晷)와
보루각(報漏閣), 흠경각(欽敬閣)은 모두 이순지가 세종의 명을 받아 이룬 것’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순지가 세종 시대 천문 기구와 설비 제작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순지가 남긴 가장 큰 성과는,
‘한문으로 펴낸 이슬람 천문 역법서 가운데 가장 훌륭한 책’으로도 평가받는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이다.
칠정은 해와 달, 수성, 화성, 목성, 금성, 토성을 뜻한다.

<칠정산외편>은 태양과 달의 운행, 일식과 월식 현상, 다섯 개 행성의 운행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희랍과 아랍 천문학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어
한 해를, 365일로 보고, 128년에 31일의 윤일을 두었다.

1년이 365일 5시간 48분 45초로,
수시력보다 더 정확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수치와 비교했을 때도, 1초가 차이 날 정도로 상당히 정확하다.

아랍천문학의 성과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용한 <칠정산외편>을 통해
조선의 천문학은.. 아랍, 중국과 함께 당시 세계에서 가잘 발달된 수준에 도달했다.

이순지는 <칠정산외편> 이외에도 많은 천문역법서를 펴냈다.
1445년에 펴낸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은
다양한 책에 나와 있는 천문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을 모아 정리한 책이다.
1459년에는 일식과 월식 계산법을 알기 쉽게 해설한
<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을 편찬했고,
다양한 천문기상 현상을 다룬 <천문유초>도 이순지가 펴낸 책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