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외래어의 사이시옷

2009-04-10

색깔을 나타내는 표현 중에 ‘빛’이라는 표현을 붙여서 나타내는 것이 있습니다. 우유의 빛깔과 같이 흰 빛을 ‘우윳빛’이라고 한다든지 남빛과 자줏빛의 중간 빛을 ‘보랏빛’이라고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우윳빛’과 ‘보랏빛’은 모두 마지막이 [삗]으로 발음되고, 앞에 있는 명사인 ‘우유’와 ‘보라’에 모두 사이시옷이 붙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의 연애와 관련된 소식을 전할 때 종종 들을 수 있는 ‘핑크빛 소식’이라는 말에서 ‘핑크빛’은 사이시옷을 쓰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안 쓰는 것이 맞을까요?

‘우윳빛’과 ‘보랏빛’에는 사이시옷이 있기 때문에 ‘핑크빛’에도 사이시옷을 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우유’는 한자어이고 ‘보라’는 고유어이기 때문에 ‘빛’이라는 고유어와 연결해서 쓸 때 사이시옷을 쓸 수 있지만, ‘핑크’라는 말은 외래어이기 때문에 뒤에 오는 말과 연결할 때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피자’를 파는 가게를 뜻하는 ‘피자집’ 같은 경우에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오늘은 외래어가 들어가는 합성어의 경우에 사이시옷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