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붓뚜껑, 붓두껍

2010-01-05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사인펜’이나 ‘매직펜’ 같은 것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잘 끼워 둬야 펜의 심이 마르지 않습니다. 펜 뚜껑을 끼우지 않고 그대로 두면 심이 말라서 다시는 쓸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만년필이나 펜 같은 것의 촉을 보호하기 위해서 겉에 씌우는 물건을 보통 ‘뚜껑’이라고 부릅니다. 서예를 할 때 사용하는 필기도구인 ‘붓’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붓의 촉을 보호하기 위해서 끼울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있습니다. 보통 붓대보다 조금 굵은 대나 얇은 쇠붙이로 만드는데, 이것은 뭐라고 부르는 것이 맞을까요?

‘펜 뚜껑’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붓뚜껑’이라고 부르면 될 것 같은데, 실제로는 ‘붓두껍’이라고 합니다. ‘붓두껍’이라는 말은 ‘붓’과 ‘두껍’이 합해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두껍’이라는 단어에는 이런 뜻이 없습니다.

이것은 가늘고 긴 물건의 끝에 씌우는 물건을 뜻하는 ‘두겁’이라는 말에서 온 것입니다. 원래는 ‘붓두겁’이었던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붓두껍’으로 변하게 된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펜촉 같은 것을 보호하기 위해서 씌우는 것을 ‘뚜껑’이라고 부르지만, 붓촉에 끼우는 것은 ‘붓뚜껑’이 아니라 ‘붓두껍’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