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갱의실, 경의실

2010-01-14

옷을 갈아입는 곳을 한자어로 말할 때 ‘갱의실’이라고 하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요, 이는 ‘경의실(更衣室)’을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겁니다. 그런데 ‘경의실’은 ‘탈의실’이나 ‘옷 갈아입는 곳’ 또는 ‘옷 갈아입는 방’으로 순화해서 사용하도록 돼 있습니다.

‘경의실’을 ‘갱의실’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은 같은 한자를 발음하는 방법이 다를 때 나타나는 예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실제로 여기에 쓰인 한자는 ‘다시 갱’자와 ‘고칠 경’자로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록경기 같은 데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린 것은 ‘기록 경신’이라고 하고,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경우에는 ‘계약 갱신’이나 ‘면허 갱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룬다는 뜻으로 쓰는 ‘살신성인(殺身成仁)’이라는 말에 나오는 ‘살’자는 ‘죽일 살’자로 쓸 때도 있고, ‘덜 쇄’자로 쓸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줄어드는 것을 뜻하는 것은 ‘감쇄(減殺)’라고 하고, 상반되는 것이 서로 영향을 주어 효과가 없어지는 것은 ‘상쇄(相殺)’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 여자가 미모로 남자를 매혹시켜서 괴롭힌다고 하는 뜻으로 말할 때는 ‘매우, 몹시’라는 의미로 쓰이는데, ‘뇌살’이라고 읽기 쉽지만 이때는 ‘뇌쇄(惱殺)’가 올바른 발음입니다.

오늘은 같은 한자를 읽는 방법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