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잉여적인 표현

2011-04-28

일반적으로 비교 대상이 서로 아주 다른 것을 표현할 때 ‘판이하게 다르다’라고 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두 사람의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이렇게 말할 때가 있는데, ‘판이하다’는 비교 대상의 성질이나 모양, 상태 같은 것이 아주 다르다는 뜻으로, 그 말 자체에 이미 ‘다르다’는 뜻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 뒤에 ‘다르다’를 덧붙여서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성격이 판이하다’ 또는 ‘얼굴이 판이하게 생겼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맞지요.

‘판이하게 다르다’ 외에도 잉여적인 표현을 써서 말하는 것들이 꽤 있습니다. ‘독자 노선의 길을 가다’ 같은 표현도 그런 예 중의 하나지요. ‘노선(路線)’이라는 말에도 ‘길’이라는 뜻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그 뒤에 중복되는 표현을 덧붙여서 쓸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독자 노선을 걷다’ 정도로 고쳐 쓰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그리고 잠을 안 자고 밤을 보내면서 뭔가를 조사하는 것을 가리켜서 ‘밤샘 철야 조사를 벌이다’라고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밤샘’이라는 고유어와 ‘철야(徹夜)’라는 한자어는 ‘잠을 자지 않고 밤을 보냄’이라는 같은 뜻을 가진 표현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중복해서 쓸 이유가 없는 것이지요.

이와 같이 군더더기 표현을 덧붙여서 말을 복잡하게 하는 것보다는 깔끔하게 정리해서 말하는 것이 세련된 표현 방법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