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땅기다, 당기다

2011-06-01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는 공기 중에 습기가 많아서 상당히 무더운데요, 늦가을이나 겨울에는 그와 반대로 공기 중에 습기가 너무 적어서 건조합니다. 요즘도 꽤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서 우리 피부도 건조해지기 쉬운데, 피부가 건조해지면 주름도 더 잘 생기고, 심하면 갈라지기도 하니까 피부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되지요.

세수를 하고 로션이나 크림 같은 것을 안 바르고 있으면 얼굴 피부가 조이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얼굴이 당긴다’고 하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얼굴이 땅긴다’고 하는 것이 맞을까요?

일반적으로 예삿소리를 된소리로 내는 경향이 있어서 ‘과자’를 [꽈자]라고 한다든지 ‘교과서’를 [교꽈서]라고 잘못 발음할 때가 많은데요, 이 경우에는 된소리로 된 ‘땅기다’가 맞습니다.

‘땅기다’는 ‘몹시 단단하고 팽팽하게 된다’는 뜻의 동산데요, 얼굴이 땅기는 것 외에도 수술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많이 웃으면 수술한 자리가 땅기기도 하고, 또 오랜만에 운동을 하면 장딴지가 땅길 수도 있지요. 간혹 ‘땡긴다’고 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이것은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나타난 현상이지 바른 표현은 아닙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