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생활

전립선비대증 약 없이 치료하기

2014-03-15

전립선비대증 약 없이 치료하기
전립선비대증은 남성의 방광과 오줌이 나오는 관인 요도 사이에 있는 호르몬샘인 전립선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상태로서, 대개 40대 이후에 주로 나타납니다. 전립선비대증의 증세는 서서히 나타나지요.

첫째 중세는 오줌 줄기가 약해지고 가늘어지며, 소변을 눌 때 바로 나오지 않고 끝내는 것도 시원치가 않게 됩니다. 둘째는 낮에 자주 화장실에 가게 되고, 밤에도 소변이 마려워서 깨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세는 전립선염, 요도염, 방광염과 전립선암 등 다른 질병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염증은 급성으로 오고, 전립선암은 60대가 넘어야 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에서 감별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하는 의사들은 반드시 이 점을 염두에 둡니다.

진단 방법은 자세한 병력을 들은 후, 항문에 손을 넣어 전립선을 촉진합니다. 그 외 소변검사, 혈액검사 등으로 감염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전립선 초음파검사, 전립선조직검사 등을 하기도 합니다. 전립선은 나이가 들면서 커지게 마련이지만, 전립선이 크다고 다 병은 아닙니다. 증세가 없다면, 평생 그대로 놔두어도 아무런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전립선의 치료는 증세가 있으면 치료하는 것이지, 없으면 치료할 필요가 없습니다. 미리 약을 먹는다고 전립선비대증을 완치하거나, 암이 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닙니다.

전립선 증세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첫 번째 방법은 금주입니다. 알코올은 커진 전립선을 자극하여 증세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술을 끊거나 줄이면 당장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둘째는 방광훈련인데, 소변이 마려워도 잘 참는 연습을 하라는 것입니다. 낮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변을 보는 연습을 하고, 밤에는 저녁 식사 후 물이나 음료, 수분이 많은 과일 등의 섭취를 줄이면 도움이 됩니다. 셋째는 커진 전립선 더 이상 자극하지 않기입니다. 자전거 등 안장에 앉는 것이 전립선을 압박할 수가 있지요. 물론, 전립선을 압박한다고 전립선이 커지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지요.이 세 가지 방법이 잘 안되고 증세가 힘들면 약물요법을 할 수 있습니다. 효과는 좋지만 전립선비대증 자체를 없애는 것은 아니지요. 복용할 때만 효과가 있고, 끊으면 증세는 다시 나타납니다.

이도 저도 안되면 할 수 없이 수술이 남아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술 없이도 치료할 수 있는 것을 수술부터 하자고 하지는 않겠지요?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