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문화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85 : 산운 3, 4장 / 평시조 매아미 / 싸름타령

#얼쑤 우리가락 l 2016-08-10

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85 : 산운 3, 4장 / 평시조 매아미 / 싸름타령
1. 산운 3, 4장 / 황병기 작곡, 김선한 거문고, 홍종진 대금담양에 있는 정자 식영정의 풍경을 담은 정철의 성산별곡에 표현된 산의 운치를 담은 작품이다.
식영정은 ‘그림자가 쉬는 곳’이라는 뜻으로, 서하당 김성원이 장인 임억령을 위해 지은 것이다. 성산 자락의 작은 언덕 위에 자리잡은 조그만 정자인데, 광주호 건너편으로 무등산이 바라다 보이며, 주위를 둘러 싼 소나무, 대나무, 배롱나무 등도 장관이다.

2. 평시조 매아미 / 양정원 노래평시조는 시조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정해진 가락과 장단 위에 여러 가지 시조시를 얹어 부른다. 평시조 매아미는 초야에 은거하는 선비의 소박함을 담은 노래이다.

매아미 맵다 울고 쓰르라미 쓰다 우니,
산채를 맵다는가 박주를 쓰다는가
우리는 초야에 묻혔으니 맵고 쓴 줄 몰라라.


3. 싸름타령 / 유지숙싸름타령은 황해도 지방의 민요로, ‘싸름’은 ‘쓰르라미’를 가리키는 그 지방의 방언이다.

(후렴) 싸름 싸름 나도 나도 살살 다 녹여낸다

1. 싸름 싸름 느티나무 정자
돗자리라도 깔고서 술처념이나 하자

2. 산천초목이 우거진 곳에 싸름 소리가 처량도 하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