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가다가 서고하는 불규칙적인 맥박을 부정맥으로 알고 있는데 정상보다 빠르거나 느린 맥박도 부정맥에 속하고 이런 맥박이 어떤 증상을 동반하고 있으면 치명적인 질환일 수도 있다. 부정맥의 증상과 치료에 대해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임홍희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1분에 60~100 범위가 정상
맥박 수가 1분에 60에서 100번 범위가 정상이다. 60보다 적으면 서맥이라고 느린 맥이고 100 이상이면 빈맥으로 빠른 편이다. 이 맥박수는 자율 신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정신적인 흥분 상태에 따라 별다른 질병이 없더라도 일시적으로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운동 후에는 상당히 빨라지므로 반드시 중분히 휴식 후 맥박을 재는 것이 좋다. 운동 선수의 경우 질병이 없어도 심장 근육이 발달해 맥박이 빨리 뛰지 않아도 충분히 혈액을 온 몸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정상인보다 맥박수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또 잠을 자거나 명상 시에도 맥박은 60 이하로 나온다.
맥박 수 이상과 증상이 동반하면 질병 의심
맥박이 빠르거나 느리면서 어떤 증상을 동반할 경우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특히 갑자기 맥박이 빨라지면서 실신하는 경우 응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부정맥의 원인은 다양한데 빈혈, 갑상선 이상, 신부전증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맥박이 가다가 서다가 하는 전형적인 부정맥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일 수 있다. 정확한 원인은 다양한 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간단한 심전도 검사로 원인 규명
간단한 심전도 검사로 부정맥을 찾아내고 원인 질환을 규명할 수 있다.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검진으로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로는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를 하는데 약물 치료로는 완치를 기대하기 힘들고 심방 세동의 이상의 완치를 위해선 고주파 전극도자를 이용한 수술이 있다. 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충분한 검사를 통해 수술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수술을 한다. 수술의 결과는 좋은 편이다. 부정맥은 위급 시 사망에도 이를 만큼 위험한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하면 수술로 완치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