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어지러움과 함께 귀가 잘 안 들리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메니에르병으로 알려진 이 병은 빈혈과도 혼동돼 오래 방치해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도 많다메니에르병의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카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장기용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말초성 현훈 증상
1861년 프랑스 의사 프로스포 메니에르가 어린 소년이 어지러움과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것을 보고 진찰한 이후 이런 증상을 보이는 병을 메니에르병 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 병은 빙빙 도는 듯한 회전성 어지러움과 함께 귀에 뭔가 꽉 차 있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잘 안 들리는 난청, 또 소리가 나는 이명 현상이 동반되는 말초성현훈등이다. 심하면 일상생활이 곤란할 정도로 고통스럽다.
발작 시간 오래가
빈혈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높은 곳에 오르면 갑자기 어지럽다. 그러나 어지러움이 오래가지 않는다.
반면에 메니에르병의 경우 한 번 발작하면 20분 이상 오래 증상이 지속된다. 이명과 난청을 동반하는 것도 특징이다.
급성일 경우 일단 안정을 취하고 어지러움과 구토 등을 없애기 위해 진정제와 구토 억제제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일주일 정도 지나 안정되면 이뇨제, 혈관 확장제 등을 투여해 치료한다. 약물로 치료해도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 요법으로 치료한다. 내림프강 강압술, 미로 절제술 등을 사용해 수술한다.
짜게 먹지 말아야
메니에르병의 원인은 속귀 중 내림프 부분에 부종이 생겨 발생한다.
이 부분에 수분이 많이 고이게 되는데 부종으로 보아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하지 말고 수분 섭취도 줄여야 한다. 또 술, 커피, 감미료 등 자극적인 음식을 삼가야 한다. 스트레스를 받는 일도 삼가는 것이 좋다.
원인을 몰라 치료시기를 놓쳐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어지러움이 자주 있을 경우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메니에르병 이외에도 어지러움을 일으키는 귓병이 있는데 이석증이다.
현미경으로만 관찰되는 조그마한 돌이 위치를 벗어나 세방고리관에 떠다니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 잘 발생한다. 이석증의 경우 메니에르병처럼 어지럼증이 심하지 않다. 운동 요법을 실천하면 잘 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