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생활

안면 신경마비(구안와사)

#김문호의 한방 건강 상담실 l 2006-12-17

"제 남편이 이틀전에 양치질 하는데 입가로 물을 흘리더라구요. 남편도 놀라고 저도 놀라서 타올로 입을 닦고 유심히 얼굴을 들여다보니까 얼굴 한쪽이 돌아가 있었습니다. 부랴부랴 병원으로 달려갔습니다. 다행히 뇌졸중은 아니라고 하는데, 한국에서 제가 듣기로 얼굴마비는 뇌졸중 전조증상이라는데요. 이곳 병원에서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을거라고 아무런 약도 주지 않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남편은 이일로 너무 우울해하고 있습니다. 좋은 처방 부탁드릴께요"
- 호주 40대 주부


안면 신경마비(구안와사)

근육의 이상은 큰 범위에서 풍에 해당하지만 중풍은 뇌혈관질환이고 안면신경마비는 중추신경마비인 경우도 있긴 하지만 말초신경마비 즉 말초신경계의 문제에 속한다. 즉 뇌졸중의 전조증상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중풍이 온 후에 한 증상으로서 구안와사가 올 수도 있다. 안면마비는 뇌신경 중 7번째에 해당하는데 대부분 운동신경이며 마비된 쪽이 풀리면서 다른 쪽이 당기는 것이다.


안면 신경마비의 원인과 증상

피곤하거나 긴장했을 때 떨리는 것은 TIC이라고 하는데 이는 긴장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아 많은 혈액이 필요한 근육도 아닌데 혈액이 공급되지 못해 근육이 자신의 의지가 아닌 제멋대로 움직이며 혈액을 공급받으려는 현상이다.

대개는 안면 신경이 압박되거나 근육이 긴장되거나 혈류량이 감소되거나 불결한 환경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이 생기거나 찬 기운에 노출이 되거나 했을 때 발생할 확률 높다. 그 중 중이염에 걸렸다든가 턱수술이나 염증치료를 했는데 안면마비가 오거나 이통이 있거나 물질이나 덩어리가 생기면서 마비가 오면 좋지 않다.


치료

한방에서는 빨리 처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경우처럼 유심히 볼 정도로 부분적인 마비는 95% 이상이 원상태로 돌아오지만 눈에 확연히 보일만큼 완전히 돌아간 경우에는 반 정도밖에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경우인지 잘 살펴 침 치료나 약물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다.

-마사지
약간 돌아간 경우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우선 따뜻하게 해주고 지압을 해준다. 눈 바깥쪽 끝과 콧망울 쪽, 광대뼈 아래와 양 입가 중 눌러서 아픈 부분을 지압하여 자극을 주면 운동신경의 회복이 빨라진다. 그러나 초기에 너무 많이 마사지하면 피부 찰과상 등으로 근육에 더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안면근육 운동
안면근육은 표정근으로 말을 하다보면 자연히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원하지 않으면 안 움직여도 되는 근육이어서 안 움직이다가 갑자기 움직이면 놀라서 마비가 올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 안면근육을 많이 움직이는 사람,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은 조금 덜 걸릴 수 있다. 얼굴 근육도 준비운동과 마비 운동이 필요하다. 마비가 오면 일반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평소와 마찬가지로 움직이고 얼굴에 마른 세수를 자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칫솔질 역시 구강마사지나 구강청결에 도움을 주므로 효과가 있다. 눈이 잘 안 감기면서 안구 손상이 올 수 있으니 안대로 보호하거나 인공눈물 및 침치료를 병행한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