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용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라 위산과다인지 평소 트림이 잦고 신물이 넘어올라치면 통증이 심해서 무척 괴롭습니다. 내시경을 해봤는데 위염이나 위궤양은 없고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하대요. 그래서 의사가 처방해준 약을 아침 공복에 먹고 있는데요. 약을 먹어서인지 낮에는 증상이 없는데, 새벽에 신물이 넘어오는 바람에 자꾸 자다가 깨게 됩니다. 이게 무슨 조화속인지요. 약물 부작용이 아닌가 싶은데, 한방으로 역류성 식도염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그리고 아직 처방 받은 약이 남아 있어서 병원에 다시 가보진 않았는데, 의사가 살을 빼라는데 역류성 식도염과 비만이 무슨 관계가 있는 건지요. 제가 좀 뚱뚱한 편이긴 합니다.
- 상파울루 거주 40대 남성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벽이 염증을 일으키는 증상을 말한다. 예전에는 식도 질환에 대한 관심이 적어 소화기 질환에 포함시키기도 했고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가슴통증이 찾아와 심장질환으로 오해하기도 했지만 사실 심장질환이라 생각되는 증상의 3분의 1정도가 식도염일 정도로 식도 질환은 빈번하게 발견되는 병이다.
원인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와 위 사이에 괄약근이 음식이 지나가지 않을 때에도 열려 있어 일어나는 증상으로 노령이나 횡경막이 느슨해지면 괄약근 역시 느슨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위액이 역류하면 자체적으로 보호되는 위벽에 비해 식도벽이 자극을 받아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사실 식도는 연동운동에 의해 물구나무를 서도 물이 아래로 내려가지만 식도의 근력이 떨어지면 위와 같이 위산이 역류하기도 한다.
보통 술, 담배, 탄산 음료 등이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라고 하지만 그보다는 소화기능이 평소에 좋지 않았던 사람의 경우 역류성 식도염에 걸리기 쉽다. 위장장애가 있으면 식도사이의 괄약근이 이완되기 쉽기 때문이다. 밤참 역시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키기 쉽다. 음식이 채 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누워서 잠을 자게 되면 위만 계속 운동을 하게 되어 위액이 역류하기 쉽기 때문이다.
치료
식도에 염증이 생기면 음식이 들어갈 때마다 아프게 되는데 특히 새벽, 인체가 이완되고 체온이 떨어져 있을 때 가슴앓이 통증이 가장 심하게 된다. 이럴 땐 자기 전에 제산제나 소염제를 먹고 자면 좋다. 제산제 역할을 하는 것이 알루미늄, 마그네슘으로 한방에서는 조개껍질이나 오징어 뼈가루를 쓰기도 하며 소나무에 기생하는 백복령이라는 하얀 가루도 도움이 된다. 제산제는 낮에 쓰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다. 소화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제산제는 일시적인 염증 완화 효과는 있지만 역류 현상을 막아주지는 못한다. 괄약근을 수술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평소의 식습관을 바꿔주는 것이 더 좋다. 특히 불규칙한 식습관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데 근력이 떨어져 위나 소화기 등의 기능저하를 보이는 비만환자보다 다이어트로 인한 불규칙한 식사가 그 원인인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잠을 잘 때 몸의 왼쪽이 위로 올라가도록 옆으로 누워 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자기 전에 속을 비우고 물 한잔을 먹는 것도 좋은 습관이다. 미지근한 물을 자리끼로 두는 것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