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생활

방귀

2010-03-14

방귀
방귀 소리만 나와도 사람들은 웃음보를 터뜨린다. 하지만 방귀로도 우리 건강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고 한다. 취재기자의 웰빙수첩 오늘은 방귀에 대한 얘기 나눠본다. 중앙일보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가 함께 한다.

우리 식생활과 방귀

우리는 방귀를 잘 뀌는 민족이다. 우리가 즐겨 먹는 콩ㆍ채소ㆍ과일ㆍ생식 등이 방귀를 잘 만드는 식품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사람의 소장에 이들을 정상적으로 분해할 효소가 적거나 없어서다.

정상적인 방귀의 횟수는 하루 평균 13번(5~20번)이다. 25번까지는 정상의 상한선이며 26번 이상이라 해도 일시적이거나 다른 증상들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잦은 가스와 함께 복통ㆍ식욕부진ㆍ체중 감소ㆍ불규칙한 배변 등이 동시에 나타나면 직장암 등 대장질환ㆍ영양분의 흡수장애의 신호음일 수 있으니 주의가 요망된다. 수술 뒤에는 장운동이 돌아왔는지를 방귀로 판단한다.

소리

방귀 소리는 작은 구멍(항문)을 통해 가스가 한꺼번에 배출되면서 항문 주위가 떨리는 소리이다. 방귀는 한번에 25~100㎖의 가스를 방출한다. 방귀에는 소리는 크지만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대포 방귀’와 소리는 안 나도 냄새는 지독한 ‘도둑 방귀’가 있다. 특별한 병이 없으면서 방귀 소리가 큰 것은 장(腸)이 건강하다는 신호이다. 그러나 방귀의 배출로가 일부 막혀 큰 소리가 나는 치질 환자는 예외이다.

성분

방귀의 성분은 음식과 함께 삼킨 공기 안의 질소가 60∼70%를 차지한다. 10∼20%는 수소, 10%는 이산화탄소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냄새가 나지 않는 기체이다. 쌀밥ㆍ보리밥 등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한 뒤에 나오는 가스는 소리만 요란할 뿐 냄새는 심하지 않다. 양파ㆍ아스파라거스ㆍ보리ㆍ밀ㆍ고구마ㆍ우엉 등 식이섬유가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분해 시킬 수 없는 전분 찌꺼기가 남아 세균에 의해 발효되고 다량의 수소ㆍ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하지만 이 가스들은 냄새가 나지 않는다.

냄새

냄새가 구린 방귀는 대장에서 만들어지는 기체의 1%에 불과한 유황이 함유된 가스 탓이다. 브로콜리ㆍ양배추ㆍ견과류에 유황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빵ㆍ맥주에도 첨가물로 들어간다. 또 단백질 분해 세균이나 부패균도 유황 함유 가스를 생성한다. 유황 성분은 아미노산에도 많이 함유돼 있다. 냄새가 지독한 방귀를 흔히 ‘계란 방귀’라고 부르는데 이는 계란 흰자에 단백질이 풍부한 것과 관련이 있다. 소리가 나지 않는 ‘도둑방귀’는 유황성분이 소량씩 새 나오는 상태로 볼 수 있다.

방귀의 원인

질병이 방귀의 원인인 경우는 드물다. 피로나 스트레스에 의해 심해질 수는 있다.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 위나 장 등 소화기가 음식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해 장내에서 유해세균이 번성하고 유익세균이 억제되는 등 장내 균형이 깨질 수 있다. 그러면 이상 발효가 일어나 구린 냄새가 만들어진다.

변비로 인해 장내에 오랫동안 음식이 쌓여 있어도 냄새가 심할 수 있다. 복통ㆍ식욕감소ㆍ체중감소ㆍ변비ㆍ설사가 동반된 경우라면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실제로 대장암ㆍ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방귀에서는 메탄가스가 더 많이 방출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당뇨약이나 비만치료제는 탄수화물이 소장에 흡수되는 것을 막아 가스를 많이 발생한다. 항생제를 장기간 복용해 장내의 정상 세균들이 감소하는 것도 방귀를 만드는 원인이다. 우유도 원인이 된다. 다만 유산균이 든 요구르트를 먹으면 방귀가 줄어든다.

방귀 줄이기

소리 나는 방귀를 줄이기 위해서는 콩ㆍ채소ㆍ보리 등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냄새나는 방귀를 줄이기 위해서는 육류ㆍ맥주ㆍ우유 등을 덜 먹는 것이 좋다. 장내 가스를 증가시키는 껌ㆍ캔디ㆍ탄산음료도 줄인다. 물을 적게 마시거나 음식을 천천히 먹거나 식사 도중 말을 아끼는 것도 방귀 발생 횟수를 줄이는 방법이다.

방귀의 악취가 심하면 비스무스란 약물을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이 약은 황화수소 등 구린 냄새를 내는 물질과 결합해 악취를 9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뀌지 않은 방귀는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으로 흡수돼 온몸을 돈다. 도중 신장에서 처리돼 소변이 되지만 나머지는 숨을 쉴 때 배출된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