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멋쟁이' 와 '멋장이'

2006-05-17

날씨가 더워지면서 반소매 옷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여름뿐만 아니라 계절을 앞서가는 사람들은 남보다 먼저 멋을 부립니다. 이런 사람들을 흔히 ‘멋쟁이’라고 하는데 이 말도 ‘멋쟁이’와 ‘멋장이’로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말이 올바른 표현방법인지 예문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접미사에 따른 잘못된 표현 - 멋쟁이 와 멋장이

영애 :

수진 :


영애 :

수진 :

영애 :

수진 :

영애 :


수진 :



영애 :
수진아, 늦어서 미안.

왜 이제 와. 너 20분이나 지각이야.
그러나 너 오늘 좀 달라보인다. 멋 부리느라 늦었구만.

신경 좀 썼지. 티 나?

그런데, 치마가 너무 짧은 거 아냐?

얘는, 미니 스커트가 올해 봄 멋쟁이들의 필수품이잖아.

너도 입은 걸 보니 그런가 보다. 나도 하나 살까?

그래, 너두 하나 사! 이와 살거면 짧은 걸로 사.
그래야 진정한 멋쟁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

그래, 그럼 나도 미니 스커트 입고
올 봄에 멋장이 대열에 한번 끼어볼까?
그럼, 밥 먹고 쇼핑 잠깐하고 또 뭐하지?

명동은 너무 사람이 많으니까 한강 둔치에 가서 바람이나 쐬자


영애는 ‘멋쟁이’라고 표현하고 수진이는 ‘멋장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쟁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예를 들어 ‘겁쟁이, 고집쟁이, 떼쟁이, 멋쟁이, 무식쟁이'처럼 그 사람의 속성을 나타낼 때는 ‘-쟁이'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장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간판장이, 땜장이, 미장이, 양복장이, 옹기장이, 칠장이'처럼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할 때 ‘-장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멋쟁이’는 속성을 나타내는 말이지 기술과 관련된 사람이 아니므로 ‘멋쟁이’로 사용하는 것이 맞는 표현입니다. 한편, ‘점쟁이’는 점을 보는 사람으로 기술자로는 볼 수 없고 그 사람의 속성으로 볼 수 있기에 ‘-쟁이’로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 - 한강 둔치 와 고수부지

예문에서 ‘한강 둔치’라는 말은 한강변에 서울시민들의 휴식처로 잘 단장되어 있는 공간들을 말합니다. 산책로나 자전거 도로뿐 아니라 수영장같은 시설도 잘 되어 있어 이용하는 시민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이곳을 ‘한강 고수부지’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고수부지’는 물이 차 올랐을 때, 물이 잠기는 땅을 말하는 것으로 일본식 한자의 조합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따라서 강이나 호수의 가장자리에 있는 언덕을 가리키는 정확한 우리말 표기는 ‘한강 둔치’가 됩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