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웃어른' 과 '윗어른'

2006-06-02

한글은 다른 언어에 비해 높임말에 대한 표현이 나눠져 있습니다. 어른을 지칭할 때 혼동될 수 있는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높임말의 잘못된 표현 - 웃어른 과 윗어른

할아버지 :

고등학생 :

할아버지 :

고등학생 :

할아버지 :


고등학생 :

할아버지 :
아이고. 다리야.

할아버지 이쪽으로 앉으세요.

아이 난 괜찮은데... 그럼 대신 내가 가방 들어줄게. 이리 줘요.

괜찮습니다.

아이고~ 뉘 집 자식인지 가정 교육하나 제대로 받았네.
웃어른 공경하는 게 아주 제대로야!!!!

저희 아버지께서 늘 윗어른께 예의를 다하라고 하셨거든요.

아주 요즘 보기 드문 청년이네..


할아버지는 '웃어른'이라는 표현을 썼고 자리를 양보한 학생은 '윗어른'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맞는 표현은 '웃어른'입니다.

국립 국어원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위'를 나타내는 접두어는 모두 '윗-'으로 통일하여 쓴다고 되어있지만 아래와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에는 '웃-'을 쓸 수 있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어른'은 나이가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아래와 위의 대립이 없으므로 '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웃어른' 이외에 '웃'을 사용하는 단어로는 '간장이나 술 따위를 담가 익힌 뒤에 처음에 떠낸 진한 국'인 '웃국'과 '본래의 값에 덧붙이는 돈'인 '웃돈', '맨 겉에 입는 옷'인 '웃옷'등이 있습니다.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

예문에 나온 뉘 집 자식인지라는 표현은 '누 집 자식인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뉘'는 '누구의'의 줄임말로 '뉘'가 맞는 표기이지만 발음이 어려워 '누'로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