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거슬러' 와 '거실러'

2007-01-31

거슬러와 거실러

여자 :



아이:


여자 :

아이:


여자 :



아이:



여자 :


아이:


여자 :
꼬마야.
과자 먹고 싶으면 돈을 내고 먹어야지.
봉지부터 뜯으면 어떡해?

아참, 그렇지.
엄마가 돈 주셨어요. 여기요.

만 원짜리네.

네. 잔돈 거실러 주세요.
엄마가 꼭 받아 오랬거든요.

그래.
과자 두 봉지에 천 사백 원이니까
잔돈 여기 있다.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잠시 후) 아줌마... 저기요.
저 아까 잔돈 주셨어요?

아까 만 원짜리 내서 내가 거슬러 줬잖아.
왜 돈이 없어?

여기서 과자 사고 오락실 잠깐 들렀다가
집에 갔는데 돈이 없어요.

어쩌니... 그러니까 곧바로 집으로 갔어야지.
엄마한테 혼 좀 나겠네.


대화에서 꼬마 손님은 ‘거실러 주세요’라고 했고 가게 주인은 ‘거슬러줬잖아’라고 표현했습니다. 두 가지 표현 중 맞는 표현은 ‘거슬러줬잖아’입니다.
‘거슬러’의 기본형 ‘거스르다’는 여러 뜻이 있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셈할 돈을 빼고 나머지 돈을 도로 주거나 받다‘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거스르다는 ‘거슬러’ ‘거스르니’ 등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실러’는 ‘거슬러’의 잘못된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따라서 대화에서 꼬마 손님은 ‘거실러 주세요’ 가 아닌 ‘거슬러 주세요’라고 고쳐 말해야 합니다.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

대화에서 ‘잔돈’이라는 표현이 나왔는데 ‘잔돈’은 ‘거스름 돈’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잔돈’과 함께 쓸 수 있는 순 우리말이 있는데, 바로 ‘우수리’입니다. ‘우수리’는 ‘물건 값을 제하고 거슬러 받는 잔돈’ 또는 ‘일정한 수나 수량에 차고 남는 수나 수량’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잔돈’과 함께 ‘우수리’라는 순 우리말도 쓸 수 있다는 사실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