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천장 / 천정

2007-06-04

우리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단어 중에는 원래 한자어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점차 그 본래의 한자음을 사용하지 않게 된 것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집에서 방의 아랫부분은 ‘방바닥’이라고 하는데, 윗부분은 ‘천정’이라고 하지 않고 ‘천장’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원래 ‘천정(天井)’이라는 한자말에서 온 것이지만, 표준어 맞춤법에 따르면 ‘천장’으로 쓰도록 돼 있습니다.
그런데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른다’ 또는 ‘유가가 천정부지로 오른다’와 같이 말하는 것을 들어 보셨을 겁니다. ‘천정부지’라는 말은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가 같은 것이 한없이 오르기만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데요, 이 경우에는 한자의 발음 그대로 ‘천정부지’로 읽습니다.

그리고 ‘막내’를 다소 귀엽게 부를 때 ‘막내둥이’라고 하고, 아주 사랑스럽거나 사랑을 많이 받는 아이를 가리켜서 ‘귀염둥이’라고 하지요. 이처럼 어떤 특징을 가지는 아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애칭으로 쓰는 ‘OO둥이’라는 말도 역시 한자의 ‘아이 동(童)’자 다음에 ‘이’가 붙은 ‘-동이’라는 말에서 왔지만 ‘-둥이’로 바뀌어 쓰이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쌍동이’나 ‘늦동이’가 아니라 ‘쌍둥이, 늦둥이’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