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호떡, 호주머니

2007-09-25

요즘도 주택가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군것질거리로 ‘호떡’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밀가루를 반죽해서 둥글넓적하게 만들어서 속에 설탕이나 팥 또는 땅콩 같은 것을 넣고 번철에 구워낸 것이죠. 그렇다면 여기에 왜 ‘호떡’이라는 이름이 붙은 걸까요?

이것은 원래 청나라에서 건너온 것이기 때문에 오랑캐를 뜻하는 한자인 ‘호(胡)’자를 붙여서 ‘호떡’이라고 부른 것입니다. 수십 년 전만 해도 호떡 장사를 하는 중국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는 것만 봐도 ‘호떡’이라는 이름이 어떻게 나왔는지 짐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날씨가 추워지면 우리 어깨는 점점 움츠러들고 손은 자연스럽게 주머니 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옷에 붙어 있는 주머니를 ‘호주머니’라고도 부르는데, 이 말은 어떻게 나온 것인지 알고 계십니까?

우리나라 고유의 옷에는 주머니가 없습니다. 옛날에는 ‘주머니’라고 하면 옷에 달려 있는 것을 말한 것이 아니고, 물건을 담을 수 있게 따로 드는 것을 말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북방의 오랑캐라고 부르던 사람들의 옷에는 주머니가 많이 달려 있었다고 합니다. 이 호족들의 옷에 주머니가 여기저기 달려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을 ‘호주머니’라고 부르게 됐던 것이죠.

‘호떡’이나 ‘호주머니’는 모두 북방의 사람들과 관련된 것이라고 해서 앞에 ‘호’자를 붙여서 말한 것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