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명란젓, 창난젓

2008-11-17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반찬 중에 ‘젓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젓갈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젓갈 한 가지만 놓고도 밥 한 그릇을 금방 비운다고 하는데요, 젓갈에는 염분이 상당히 많이 함유돼 있어서 건강을 위해서도 너무 많이 드시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젓갈’에도 종류가 참 많은데요, ‘명란젓’은 양념해서 날로도 먹지만 알찌개로도 자주 해서 먹습니다. ‘명란젓’은 명태의 알로 만든 것으로, ‘명란젓’의 ‘명(明)’자는 ‘명태(明太)’를 의미하고, ‘란(卵)’자는 ‘알’을 의미합니다. 명태의 창자로 담그는 젓갈도 있는데, 이것을 보통 ‘창란젓’이라고 부르죠. 그런데 이것을 글자로 써 놓은 것을 보면 둘째 음절을 ‘ㄹ’로 쓸 때도 있고 ‘ㄴ’으로 쓸 때도 있는데 이 중에서 맞는 것은 무엇일까요?

네, 이 경우에는 ‘ㄴ’을 쓰는 ‘창난젓’이 맞습니다.
‘창난’이라는 것은 명태의 창자를 뜻하는 우리 고유업니다. 그런데 이것을 명태에서 얻은 젓갈이라고 해서 흔히 ‘명란젓’과 마찬가지로 ‘ㄹ’을 써서 ‘창란젓’으로 쓸 때가 많은데, ‘창난젓’은 알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창자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알 란(卵)’자를 쓰지 않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명란젓’에서 ‘명란’은 한자어에서 온 것이고 ‘창난젓’은 순수한 우리말 표현이기 때문에 분명하게 구별해서 사용하셔야겠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