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나날이, 다달이

2009-04-24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기 때문에 계절마다 그에 맞는 옷과 이불을 장만하고 또 보관해야 한다는 것이 좀 번거롭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늘 같은 기후의 연속이 아니라 계속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계절마다 그에 맞는 옷이나 이불을 준비한다고 할 때 ‘철철이 옷과 이불을 준비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는데요, ‘철철이’라는 말은 ‘계절’이라는 뜻의 ‘철’이 두 번 연이어 나온 것입니다.

그렇다면 ‘날’과 ‘달’을 ‘철철이’처럼 표현한다면 각각 ‘날날이’와 ‘달달이’라고 할 것 같지만, 이것은 그렇게 표현하지 않고 ‘나날이’와 ‘다달이’라고 합니다.

맞춤법에는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때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것은 합성어나 접미사가 붙은 파생어에서 앞 단어의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는 것은 그 형태로 적는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이 끝소리 ‘ㄹ’이라는 것은 대체로 ‘ㄴ, ㄷ, ㅅ, ㅈ’으로 시작하는 말 앞에서 탈락하게 됩니다.

‘날’과 ‘달’은 각각 ‘ㄴ’과 ‘ㄷ’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그 앞의 받침 ‘ㄹ’이 탈락해서 ‘나날이’와 ‘다달이’가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철철이’는 ‘ㄹ’ 받침 뒤에 ‘ㅊ’으로 시작하는 말이 왔기 때문에 앞의 ‘ㄹ’을 탈락시키지 않고 그대로 ‘철철이’라고 씁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