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초점, 촛점

2009-05-08

지난해에 정부가 발표한 건설업 지원 대책은 심각한 자금난에 빠진 업체에 일단 돈이 돌 수 있도록 해 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관심이나 주의가 집중되는 사물의 중심 부분’을 가리켜서 ‘초점(焦點)’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을 글자로 표기해 놓은 것을 보면 ‘초’ 밑에 ㅅ 받침을 쓴 것과 그냥 ‘초’라고 쓴 것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중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는 어느 것일까요?

활자로 표기된 것 중에는 ‘사이시옷’을 안 써야 할 곳에 쓴 것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써야 할 곳에 안 쓴 것이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초점’의 경우는 ‘사이시옷’이 안 들어간 것이 맞습니다.

현 맞춤법 규정에 의하면 순수 한자어로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단어는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이렇게 6개밖에 없습니다.

앞에서 예로 든 ‘초점’은 이 6개의 한자어 안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입니다. 그 외의 한자어 중에서도 ‘개수(個數)’나 ‘대가(代價)’ 또는 ‘이점(利點)’ 같은 단어들에 사이시옷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한자어 단어들은 모두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바른 표기 형태라는 것도 함께 알아 두시면 좋겠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