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에서는 동사나 형용사가 ‘-하다’의 형태인 것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동사나 형용사들이 준말로 쓰일 때는 어간 끝 음절 ‘하’에서 모음 ‘ㅏ’가 줄고, 자음 ‘ㅎ’이 뒤에 오는 음절의 첫소리와 결합해서 거센소리가 됩니다.
예를 들면, ‘감탄하게’는 ‘감탄케’가 되고, ‘무심하지’는 ‘무심치’로, 그리고 ‘분발하도록’은 ‘분발토록’과 같이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내가 생각하기에는’과 비슷하게 많이 사용하고 있는 표현인 ‘생각하건대’를 준말로 쓸 때는 어떨까요?
‘생각하건대’를 준말로 쓸 때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거센소리가 돼서 ‘생각컨대’로 쓰는 것이 맞을 것 같지만, 이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생각하건대’에서는 어간의 끝 음절인 ‘하’가 완전히 줄어진 형태를 인정해서 ‘하’가 완전히 준 형태를 씁니다. 따라서 거센소리가 나는 ‘생각컨대’가 아니라 ‘생각건대’가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예외 규정이 적용되는 단어들은 모두 어간의 받침이 ‘ㄱ, ㄷ, ㅂ’ 같은 무성 파열음일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서 ‘생각하다 못해’는 ‘생각다 못해’로, ‘못하지 않다’는 ‘못지않다’로, 그리고 ‘섭섭하지 않게’는 ‘섭섭지 않게’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