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멸치 다시, 멸치 가루

2010-03-26

칼국수 같은 것을 끓일 때는 국물 맛이 참 중요한데요, 조개 종류나 다시마 같은 것을 우려내서 맛을 내는 방법을 많이 이용합니다. 이와 같이 ‘멸치, 다시마, 조개 같은 것을 우려내어 맛을 낸 국물’을 ‘다시’라고 부르는 분들이 많으시죠?

흔히 멸치 우려낸 국물을 ‘멸치 다시’라고 하고, 이런 국물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는 것을 ‘다시 멸치’라고 부르곤 하는데, ‘다시’라는 말은 원래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그래서 ‘다시’라는 말은 ‘맛국물’로 순화해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음식을 만들 때마다 멸치나 다시마를 우려내서 맛국물을 만들지 않고도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멸치, 다시마, 표고버섯, 홍합’ 같은 것을 분말 형태로 만들어서 판매하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멸치를 빻은 가루를 글자로 표기할 때 ‘치’ 밑에 사이시옷을 쓴 ‘멸칫가루’가 맞을까요 아니면 ‘멸치 가루’라고 쓰는 것이 맞을까요?

‘고추’나 ‘메주’의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써서 ‘고춧가루, 메줏가루’라고 하는 것을 보면 ‘멸칫가루’도 맞을 것 같은데요, 현재는 사전에 이것이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기 때문에 ‘멸치 가루’라고 씁니다. 그러나 이것을 합성어로 처리한다면 ‘고춧가루’와 같은 구성으로 봐서 ‘멸칫가루’처럼 적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