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잠궈요, 잠가요

2012-05-21

우리 관용 표현에 ‘물 쓰듯’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물건을 헤프게 쓰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돈을 물 쓰듯 한다.’고 하면 돈을 흥청망청 낭비하는 것을 뜻하지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 수도요금이 꽤 싼 편이기 때문에 물 귀한 줄 모르고 마구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예로 이를 닦을 때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고 틀어 놓은 채로 칫솔질을 하는 분들이 꽤 많으신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가 앞으로 물 부족 국가가 될 거라고 하니까 지금부터라도 물 절약하는 것이 습관이 되도록 해야겠습니다.

물이나 가스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한다든지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거는 것을 ‘잠그다’라고 하는데, 이것을 잘못 활용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잠그다’의 어간 뒤에 자음이 오면 ‘잠그고, 잠그지’ 등과 같이 활용하지만, 뒤에 모음이 올 때는 이상하게도 ‘잠궈요, 잠궜어요’와 같이 잘못 활용하는 예가 많다는 것이죠.

아마도 어간 끝의 모음이 ‘ㅡ’이기 때문에 어간 끝의 모음이 ‘ㅜ’인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잠그다’는 ‘잠궈요’가 아니라 ‘잠가요’가 맞고, 이와 마찬가지로 ‘김치를 담그다’에서 ‘담그다’는 ‘담궈요’가 아니라 ‘담가요’로 활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것도 함께 알아 두시면 좋겠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