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전단, 전단지

2012-05-25

여러분은 주로 종이에 인쇄된 신문을 보시나요? 아니면 인터넷으로 보는 전자신문을 보시나요? 세대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어느 쪽이든 장단점이 다 있는 것 같습니다. 편리하게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전자신문이 좋기는 하지만 많은 뉴스가 한눈에 들어오는 것은 아무래도 종이 신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신문’과 ‘신문지’라는 표현을 모두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두 표현은 그 용도에 따라서 구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신문(新聞)’은 소식을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용도가 중요하다면, ‘신문지(新聞紙)’는 대중매체로서의 역할보다는 ‘종이’로 사용한다는 것에 더 초점이 맞춰진 것이지요.

‘신문지’라는 말에서 마지막 음절을 ‘종이 지(紙)’자를 쓴다는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되실 텐데요, 신문지로 물건을 싼다든지 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앉을 수도 있겠고, 더러운 유리창을 신문지를 이용해서 닦는 등 새로운 소식을 알고자 하는 목적과는 관계없이 그저 종이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선전이나 광고하는 글이 담긴 종이쪽’을 가리켜서 보통 ‘전단’ 또는 ‘전단지’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는 마지막에 ‘지’자를 안 붙인 ‘전단(傳單)’이 맞는 표현입니다. ‘전단’이라는 말에서 ‘단’자는 ‘부조나 선물 등의 내용을 적은 종이’인 ‘단자(單子)’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전단’이라는 말에는 이미 ‘종이’라는 뜻이 들어 있으므로 ‘지’자를 반복해서 쓰지 않는 것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