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이골이 나다

2013-07-16

안녕하십니까? 바른 우리말입니다.

“너도 많이 바쁠 텐데 이렇게 도와주니 정말 고맙다. 고생 많았지?”
“아니야, 이런 일은 하도 많이 해서 이젠 이골이 났는걸, 뭐.”

같은 종류의 일을 아주 많이 하다 보면 눈을 감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해지지요. 앞서 들으신 대화에서는 이런 것을 가리켜서 ‘이골이 나다’라는 표현을 썼는데요, 그렇다면 ‘이골’이라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원래 ‘이골[이ː골]’은 ‘아주 길이 들어서 몸에 푹 밴 버릇’이라는 뜻의 고유업니다. 이 말은 보통 동사 ‘나다’와 함께 써서 ‘이골이 나다’라는 표현으로 많이 쓰고 있는데, 결국 어떤 일에 완전히 길이 들어서 아주 익숙해진다는 뜻이지요.

이와 비슷하게 쓸 수 있는 표현으로 ‘이력이 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력(履歷)’은 ‘많이 겪어 봐서 얻게 된 슬기’라는 뜻으로 ‘이력이 나다’는 결국 많이 경험해 보면서 일하는 방법을 얻게 된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거쳐 온 학업, 직업, 경험 등의 내력’도 ‘이력’이라고 하는데요, 그런 내력을 적은 문서를 ‘이력서(履歷書)’라고 하지는 거죠.
오늘은 어떤 일을 오래 하면서 얻게 되는 것과 관련 있는 ‘이골’과 ‘이력’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