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맵시, 태, 맨드리

2014-02-18

같은 옷을 입어도 더 멋있어 보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이렇게 ‘옷을 입은 맵시’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지요.

‘맵시’란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라는 뜻의 우리 고유어 표현인데, 이것을 한자어로는 ‘태(態)’, 즉 ‘모양’을 뜻하는 한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보통 ‘맵시가 있다’, ‘맵시가 나다’ 또는 ‘태가 나다’와 같이 식으로 표현합니다.

‘옷을 입은 맵시’와 관련해서 혼동하기 쉬운 표현 중에는 ‘매무새’와 ‘매무시’가 있습니다. 먼저 ‘매무새’는 ‘옷이나 머리 따위를 수습하여 입거나 손질한 모양새’라는 뜻으로 보통 ‘매무새가 단정하다’, ‘매무새가 흐트러지다’와 같이 씁니다. 그리고 ‘매무시’는 ‘옷을 입을 때 매고 여미는 따위의 뒷단속’이라는 뜻으로 ‘매무시를 가다듬다’나 ‘매무시를 고치다’와 같이 쓰지요.

‘매무새’와 ‘매무시’는 모두 단어 앞에 ‘옷’이라는 명사를 붙여서 ‘옷매무새’와 ‘옷매무시’라는 표현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옷을 입은 맵시가 좋다’는 뜻으로 말할 때는 ‘옷매무새가 좋다’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맨드리’라는 표현도 있는데, 이것은 ‘옷을 입고 매만진 맵시’라는 뜻으로, 보통 ‘맨드리가 있다’ 또는 ‘맨드리가 곱다.’와 같이 쓸 수 있다는 것도 참고로 함께 알아 두시지요.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